[팸타임스=지미옥 기자] 1인 가구로 생활하는 청년과 중년이 다인 가구에 속한 같은 연령대보다 흡연·과음 비율이 높고 수면시간이 비정상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오늘(4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성균관대 소비자가족학과 이성림 교수팀이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토대로 20세 이상 성인 남녀 5,215명의 가구 형태별 음주·흡연 비율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연구결과는 대한가정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1인 가구로 지내는 청년(20~30대)의 절반가량(48.1%)이 흡연자였다. 비흡연과 금연의 비율은 각각 36.4$, 15.6%였다. 다인 가구의 경우 비흡연 61.8%, 흡연 24.7%, 금연 13.5%로 1인 가구에 비해 낮은 흡연율을 보였다. 1인 가구로 사는 40~50대 중년의 흡연 비율(33.3%)은 다인 가구에 속한 중년 흡연 비율(19.8%)보다 1.7배가량 높았다.
과음 비율은 1인 가구로 생활하는 청년의 경우 절반이 넘는 57.1%의 비율을 보였다. 다인 가구에 속한 청년은 절반에 못 미치는 47.7%에 그쳤다. 중년 1인 가구는 과음 비율이 39.9%로 절주·금주 비율보다 높았다. 다인 가구에 속한 중년은 절주 비율이 36.9%로 높게 나타났다.
가구구성원의 수는 수면시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1인 가구로 청년은 수면시간의 비정상 비율(51.9%)이 절반 이상이었다. 다인 가구에 속한 청년은 수면시간의 정상 비율(54.1%)이 더 높았다.
중년과 노년 1인 가구는 수면시간의 비정상 비율이 각각 61.6%, 71%에 달했다. 다인 가구에 속한 중·노년에 비해 수면시간이 비정상일 가능성이 훨씬 높다. 수면시간이 하루 7시간 이상 8시간 이하면 '정상', 수면시간이 이보다 짧거나 길면 '비정상'으로 분류했다.
연구팀은 "1인 가구로 생활하는 사람은 다인 가구에 속한 비슷한 연령대에 비해 건강관리에 소홀한 편이고 전반적으로 신체활동 수준도 낮았다"고 지적했다.
지미옥 기자(jimi@fam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