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팸타임스=지미옥 기자] 지난 25일, 국토교통부가 2만 가구 표본을 대상으로 한 '2016년 일반가구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주거실태조사는 국민의 주거환경, 주거이동, 가구특성과 관련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지난 2006년부터 2년마다 시행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 의하면 '자가점유율'이 56.8%에 달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자가점유율'은 자신 명의의 집에서 사는 것으로 지난 2014년 53.6%에서 2016년 56.8%로 상승세를 보였다.
자가점유율은 모든 지역에서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은 소폭 하락했고 중소득층 이상은 상승했다.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비율인 '자가보유율'은 2014년 58.0%에서 2016년 59.9%로 증가했다.
자가점유율과 마찬가지로 모든 지역에서 상승했다. 저소득층에서는 자가보유율이 하락했으며, 중소득층과 고소득층에서는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가가구 연소득대비 주택구매가격 배수(PIR)는 전국 중위수 기준으로 5.6배였다. 지난 2014년의 4.7배에 비해 증가한 수치를 나타냈다. PIR은 주택가격 중간값을 가구 연소득 중간값으로 나눈 수치다.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5.6년을 모아야 집을 살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내 집 마련 의식은 국민 중 82.0%가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응답하며 높은 수치를 드러냈다. 지난 2014년 조사에서 79.1%가 답한 것과 비교하면 보유의식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가구주의 연령에 따라 구분했을 때 가구주 연령이 낮을수록 보유의식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국민의 66.5%가 임대료와 대출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거주 가구가 상대적으로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점유형태별로는 월세, 전세, 자가 순으로 집계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부터 조사표본을 6만 가구로 확대하고 조사주기도 2년에서 1년으로 단축해 다양한 계층에 대한 심층분석과 함께 정책의 시의성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특히 그동안 부정기적으로 실시하던 청년, 신혼부부, 노인 등의 주거실태조사 결과가 매년 발표됨에 따라 생애 주기별 맞춤형 주거복지정책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지미옥 기자(jimi@famtimes.co.kr)
씰리침대 기흥점, 고객감사 ‘Thank You’ 프로모션 진행
가수 방주연 "임신한 상태에서 암걸려…두 목숨 달렸다"
선우은숙, "이영하와 이혼 후 2년간 눈물…철없는 선택"
가수 길-아내 결혼에 장모 "부담스러운 것 있다"
박정아 출산 이야기에 전혜빈 "신랑과 곧 겪을 것"
이은형 언니 융진, 190cm 키+이국적 외모 화제 `가수 출신`
전종서 "피투성이로 식당 갔더니 사장님이…"
김희철, 모모 언급에 동공 지진 "이러면 안된다"
탤런트 최정윤, 남편 재벌가 소문에 "자차도 없다"
탤런트 박선영 "남편이 바람 피워도 참아 스트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