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빠르게 증가하는 1인 가구에 대비해 종합정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7일, 부산발전연구원에 따르면 2015년 말 부산지역 4가구 중 1가구는 1인가구다. 또 10년 후에는 3가구 중 1가구로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1990년 이후부터 2005년까지는 부산의 가구형태가 주로 4인 가구 양상을 띄었다. 그러나 2010년부터 2인 가구가 24.9%로 증가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인 가구 비중도 빠르게 늘어 2015년에는 1인 가구의 비중이 2인가구와 비슷해졌다. 현재는 절반 이상이 1~2인 가구인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시는 이러한 상황에 1인 가구를 위한 정책이 미흡하다는 문제를 지적 받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 대부분의 정책이 4인 가구 중심으로 짜여져 있다. 뿐만 아니라 1인 가구가 생활하는 데 필요한 경제 여건도 다른 시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인 가구를 위한 정책수립 마련을 위해 부산발전연구원, 복지개발원, 여성가족개발원 총 3개 정책기관이 나선다.
이에 앞서 부산시는 시민의 목소리 반영과 다양한 전문가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1인 가구 연속포럼을 개최한다.
오는 30일 열릴 '1인 가구 증가와 신(新)사회적 위험'을 주제로 한 첫 번째 포럼은 부산시상수도사업본부 회의장에서 개최된다. 이번 포럼에는 이민홍 동의대교수와 김형균 부산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부산발전연구원 관계자는 "1인 가구 현황과 대책에 대한 기존 정책 연구는 많다. 그러나 연구기관의 성격에 따라 제한된 대상 별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어 한계가 있다"며 "이번 정책 연구는 부산의 대표적인 3개 정책연구기관이 힘을 합쳐 청년, 중장년, 노년 등 세대를 아울러 종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어서 기대효과가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