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타임스=지미옥 기자] 1인 청년가구 중 남성이 여성보다 급여를 많이 받는 반면 상대적으로 여성보다 덜 쓰는 것으로 확인됐다.
남성은 식사비 지출 비중이 여성보다 많았고, 여성은 의류 및 신발 지출 비중이 남성보다 높았다.
통계청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한국의 사회동향 2016'을 지난 12일 발표했다.
인구와 가족, 건강과 교육, 노동, 소득과 소비, 문화와 여가 등 11개 영역을 지표로 설정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특히 주요 영역에 대한 사회현상의 성별 특성을 비교·분석한 것이 눈에 띈다.25세~39세 1인 청년가구 통계를 살펴보면 남성 청년가구의 근로소득 비중이 75.0%로 여성 청년가구(71.3%)보다 높았다. 사업소득 비중은 여성이 21.9%로 남성(18.9%)보다 높았다.
또한 1인 청년가구 중 남성의 가계흑자율은 36.4%로 여성 가구(25.3%)보다 높았다. 한편 여성 1인 청년가구는 남성(53.5%)보다 경상소득 대비 소비지출 비중이 64.7%로 높게 나타났다.
남성은 식사비 지출 비중이 여성보다 많았고, 여성은 의류 및 신발 지출 비중이 남성보다 높았다. 기타 통신·문화·교육 등에 대한 지출 비중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통계청 홈페이지에 게재돼있다.
지미옥 기자 jimi@fam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