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슴도치는 순한 얼굴을 가진 사랑스러운 생명체다(사진=ⓒ픽사베이) |
최근 고슴도치와 반려 생활을 하는 반려인이 늘고 있지만, 고슴도치의 건강 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슴도치가 스스로 고통에 대해 표현을 하거나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편이기 때문에 고슴도치와 함께 생활할 때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외부 및 내부 기생충
고슴도치가 감염될 수 있는 내부 기생충에는 원생동물류와 균류가 있다. 이 기생충은 설사를 유발하기 때문에 대변 검사나 구충 조치를 진행해야 한다.
고슴도치가 백선에 걸리면 ▲탈모 ▲가시 탈락 ▲피부 비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백선은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사람도 감염될 수 있다. 한편, 외부 기생충에는 벼룩과 진드기가 포함된다.
반려 고슴도치가 외부 기생충에 감염되면 피부염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파리니아 트리폴리스는 고슴도치가 주로 감염되는 진드기로써 귀나 얼굴, 앞머리 등에서 볼 수 있다.
반려 고슴도치는 이 진드기에 감염된 다른 고슴도치와 직접 접촉하거나 케이지가 오염된 경우에도 전염될 수 있다.
고슴도치가 진드기에 감염되면 ▲비듬 ▲가시 하단의 각질 ▲가시 탈각 ▲심하게 간지러워하는 모습 등이 나타난다.
비록 고슴도치는 벼룩과 귀 진드기에게도 전염될 수 있지만, 실내에서만 기르면 진드기에 걸릴 일은 극히 드물다.
외부 기생충에 감염된 경우 ▲주사제 ▲벼룩 전용 스프레이 ▲치료용 약물 목욕 같은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위장 질환
고슴도치가 살모넬라증에 걸리게 되면 설사가 유발될 수 있다. 살모넬라에 감염되면 체중 감소와 탈수증이 나타나고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 죽을 수도 있다.
고슴도치의 사료 브랜드를 바꾸거나 우유를 먹이면 설사를 유발할 수도 있다. 지방간 질환으로 알려진 간 지질증은 ▲비만 ▲기아 ▲감영성 질병 같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간 지질증의 경우 ▲무기력증 ▲설사 ▲식욕 감퇴 현상을 유발한다.
수의사는 담즙산과 간 효소, 혈장 빌리루빈 등을 테스트한 후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고슴도치가 취약한 7가지 질병이 있다(사진=ⓒ맥스 픽셀) |
암
고슴도치가 3살이 넘어가면 암이 유발될 수 있으며 주로 위장관과 입, 위장 등에 유발된다. 고슴도치의 전신이 암에 취약하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고슴도치가 암에 걸리면 ▲체중 감소 ▲식욕 부진 ▲무기력증 등의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종양은 수술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고슴도치의 내부 장기에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호흡기 질환
고슴도치의 호흡기 질환은 ▲혈액 검사 ▲방사선 사진 ▲기관, 폐엽 흡인 같은 방법으로 진단할 수 있다.
고슴도치가 걸릴 수 있는 가장 흔한 호흡기 질병은 폐렴으로써 증상은 ▲호흡 곤란 ▲비강 분비물 ▲재채기 등이 있다.
폐렴은 보르데텔라 브론치셉티카로 유발되며 고슴도치가 이러한 호흡기 질환에 걸리면 보통 항생제를 처방한다. 그러지 않은 경우, 분부요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강 질병
고슴도치가 치석과 치주염에 걸리는 일은 일반적으로서 잇몸 질환에 걸리면 ▲신경성 식욕부진증 ▲구취 ▲입 주위 출혈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이 같은 증세를 보일 경우, 전문의는 경구 검사를 통해 세척이나 발치를 할 수도 있다. 구강 질환을 앓고 있으면 항생제도 처방받을 수 있다.
이때 고슴도치에게 부드러운 먹이를 먹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편, 고슴도치의 입천장에 이물질이 낀 때도 있다. 고슴도치가 주둥이를 발로 긁거나 식욕을 보이지 않는다면 수의사는 마취를 통해 입속의 이물질을 빼낼 수도 있다.
발 괴사
사람의 머리카락이 고슴도치에게 해롭다는 것을 알고 있는가?
고슴도치의 발은 사람의 머리카락에 쉽게 엉킬 수 있으며 이 때문에 혈액 순환이 되지 않아 발이 '죽게' 될 수도 있다.
고슴도치의 발은 몸체 아래에 끼어 있어서 발 괴사는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발 괴사를 미연에 감지하지 못해 상태가 중증으로 이어지면 수술을 통해 절단할 수 있다.
비만
고슴도치의 몸체가 더 둥글어지면 귀엽게 보일 수는 있지만, 비만은 건강을 위험하게 만든다. 고슴도치가 몸체를 공처럼 말지 못하면 비만인 상태로 인식하면 된다.
고슴도치의 먹이를 제한하고 균형 잡힌 먹이를 급여하는 두 가지 전략을 통해 비만을 억제할 수 있다.
고슴도치가 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필요하다.
반려 고슴도치가 전과 다르게 행동하기 시작하면 동물병원을 찾아 건강검진을 받게 하는 것이 좋다. 증상이 아주 사소하더라도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치료제와 먹이를 섞어서 먹일 수 있다(사진=ⓒ픽사베이) |
[팸타임스=김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