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외모에 대한 잘못된 인식, 어린 시절부터 형성돼

김아현 2018-10-22 00:00:00

외모에 대한 잘못된 인식, 어린 시절부터 형성돼
▲아이는 3~5세에 이르기만해도 벌써 자신의 체중이나 신체적 이미지에 대해 집착하고 우려한다(출처=펙셀즈)

아이는 성장하면서 자신의 이미지와 체중에 민감해지는 시기를 겪는다. 이때는 거울앞에서 몇 시간을 보내기도 하는 등 자신의 외적인 모습에 매우 집중하는데, 다른 또래와 어울리는 사회적 활동을 시작하면서 이러한 행동은 더욱 증가된다. 자신의 겉모습으로 인해 집단에서 배제되거나 고립될 것을 염려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방식은 옳지 못하다. 겉모습으로 예쁘고 못생겼다는 기준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적절히 않은 사고로, 이때는 부모나 교사가 아이들이 자신의 이미지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면서 동시에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신체 이미지에 대한 잘못된 사고

아이들은 3~5세에 이르기만해도 벌써 자신의 체중이나 신체적 이미지에 대해 집착하고 우려하는데, 일부 아이들은 자신의 신체에 불만족한 느낌을 갖기도 한다. 실제로 2016년 어린이 단체인 PACEY가 실시한 한 설문에 따르면, 육아 전문가의 47%가 6~10세의 아이들이 자신의 신체 이미지로 인해 불안해하는 것을 관찰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71명의 전문가들은 아이들의 주요 관심사 가운데 하나가 바로 외적인 이미지라고 답했다.

신체에 만족못하며 부끄러워하는 경향도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보육원 근로자의 37%가량은 아이들이 다른 또래를 겨냥해 뚱뚱하다고 이야기한 것을 들은적이 있다고 말했으며, 31%는 아이들이 스스로 자신들을 향해 뚱뚱하다고 말한 것을 들은 적이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10%는 아이들이 못생겼다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고 말했으며, 16%는 다른 누군가처럼 예쁘게 생겼으면 좋겠다고 말한것을 들었다고 응답했다.

비영리 단체인 커먼센스 미디어가 더 앞선 2015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아이들이 아주 어린 나이때부터 비현실적이거나 고정관념적이고 성차별적인 신체 이미지에 대한 개념을 배운다. 연구에서는 6~8세 사이의 여자 아이들의 절반 이상, 그리고 남자 아이들의 1/3가량이 자신보다 더 마른 몸매를 이상적인 체중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살 아이들 4명 가운데 1명은 다이어트를 시도한 적이 있으며, 여자 아이들의 41%가량은 소셜 미디어에서 자신을 더 멋잇게 보이도록 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모든 사실은 신체 이미지가 여러 세대의 아이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외모에 대한 잘못된 인식, 어린 시절부터 형성돼
▲부모는 자녀에게 인간은 모두 다른 방식으로 고유한 존재로, 외모나 체중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출처=픽사베이)

신체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기르려면

앞서 설명한대로 어린 나이때부터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발달되기 시작한다. 이때는 부모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데, 자녀에게 자신에게 진실한 것이 가장 중요하며 사회적으로 인식되는 규범이나 표준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일깨워줄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관련해, 중동 섭식 장애 협회의 카린 엘 카젠 부사장은 아이들에게 신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길러줄 수 있는 양육법을 공개했다.

박사는 먼저 부모가 자녀에게 자신의 피부와 신체에 편안함을 느끼도록 가르쳐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때는 주변이들도 신체나 체중에 대한 코멘트를 하는 것을 가급적 피해야 한다. 또한 아이들이 자신의 몸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감지하기 시작할때, 이는 성장에서 꼭 필요한 것이며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것을 확신시켜 신체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없애도록 해야 한다.

만일 과체중이나 비만의 자녀라면, 아이들에게 영양가있는 음식을 제공해 음식 섭취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왜 체중이 증가하는지에 대한 이유도 설명해줘야 한다. 테니스나 수영, 농구 등의 활발한 신체 활동에 참여시키는 것도 좋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의 신체 이미지에 대한 인식 변화다. 부모는 인간은 모두 다른 방식으로 고유한 존재기 때문에 신체 이미지나 체중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도록 해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자신의 신체를 존중하는 방법으로 영양가있는 음식을 먹고 활발하게 활동하는 것이라는 점을 가르쳐야 한다. 건강이라는 것을 체중 감소가 아닌 자기 관리의 행동의 수단으로 가르쳐야 하는 것. 결국, 자녀가 자기의 가치를 신체 이미지나 체중에 의존하지 않도록 인식시켜야 한다.

자녀의 신체 이미지 인식 향상시키기

1. 진정성 있는 말과 행동 : 아이들은 부모나 주변의 어른들의 말과 행동을 통해 끊임없이 듣고 배운다. 이에 부모가 먼저 자신의 몸에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을 그대로 수용하는 법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아이들도 같은 방식으로 느끼도록 만든다.

2. 외모에 집중하지 않도록 하기 : 다른 사람에 대해 말할때에는 그들의 신체 이미지를 강조하는 것이 아닌, 그들이 가진 좋은 점들에 대해 이야기해줄 수 있어야 한다.

3. 광고나 미디어의 성별 및 신체 이미지에 대한 고정관념 다루기 : 미디어나 광고는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이미지를 생성할때가 많다. 부모는 이때 성별이나 신체적 고정관념을 홍보하고 옹호하는 광고나 미디어에 초점을 맞춰 아이들에게 무엇이 문제인지를 짚어나가는 교육을 시켜야 한다.

[팸타임스=김아현 기자]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