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샤트룩스 고양이(출처=픽사베이) |
조용한 고양이 종으로 알려진 샤트룩스는 고양이를 키우고 싶지만 우는 소리가 듣기 싫은 사람에게 최적의 반려묘다. 가끔은 아예 소리를 내지 않기도 한다.
샤트룩스 고양이는 우호적일뿐만 아니라 똑똑하고, 강아지처럼 교육이 가능하다. 이 고양이는 걸쇠로 닫힌 문을 열기도 하고, 버튼을 누르는 라디오 등 전자 기기 전원을 킬 수 있다.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서구적인 이름을 가진 이 고양이 품종이 본래는 아시아 출신이다. 13세기 십자군 전쟁에 참여한 크루세이더들이 서아시아 시리아 산 속에 있던 이 고양이 무리를 프랑스로 데려왔다는 것.
이 고양이의 이름은 지난 1558년 프랑스 시인이자 비평가인 조아상 뒤빌레의 시에서 발견됐다. 프랑스 화가 장 밥티스트 페로노 또한 1747년 그림으로 샤트룩스를 그렸다. 그림 속 여인은 집에서 키우는 반려묘로 보이는 고양이를 안고 있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이 고양이를 반려묘로 키우는 일은 18세기에 흔치 않은 일이었다고 한다.
캣타임 웹사이트에 따르면 'Universal Dictionary of Commerce', Natural History and the Arts and Trade of Savvary of Brusion'의 1723년의 문서 속 샤트룩스는 파란 고양이를 뜻한다. 고양이의 라틴어 이름인 Felis catus coeruleus는 프랑스 동식물 연구가인 꼼트 드 뷔폰에 의해 지어졌는데, 세계 1차 대전(1914-1918)로 인해 프랑스뿐만 아니라 인근 국가에서 샤트룩스 고양이의 존재를 찾을 수 없게 됐다고 추정된다.
시도니에 가브리엘 콜레뜨의 1933년 프랑스 소설 '라 샤뜨'에는 사하라는 이름의 샤트룩스 고양이가 나오는데, 실제로 콜레뜨는 샤트룩스 고양이 몇 마리를 키웠으며 이 중 하나의 이름이 사하였다. 유럽에서 꾸준히 샤트룩스 코양이를 키운 덕에 멸종은 면했지만 사람들이 다시 이 고양이를 보기 까지는 20년이 넘게 걸렸고, 이는 2차 세계대전이 거의 끝나가던 시기다.
비 유럽국가에서 샤트룩스 고양이를 볼 수 있기까지는 그 후 20년이 지난 1971년이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사는 존과 헬렌 가몬 부부가 샤트룩스를 미국으로 데리고 왔다.
지난 1987년에는 미국에 위치한 국제고양이애호가협회에서 샤트룩스 종이 가장 좋은 품종으로 뽑혔고, 프랑스 시인 샤를레즈 보들레르(1821-1867)와 전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 굴 (1890-1970)의 반려묘로 발견되기도 했다.
샤트룩스 고양이는 큰 머리와 넓은 어깨, 둥근 눈을 가졌으며 눈의 색은 구리색, 금색, 오렌지로 다양하다. 회색 코와 중간 크기 몸, 짧은 다리의 이 고양이는 물에 저항이 강한 푸른 회색 털을 가졌다. 이러한 신체적 특징 때문에, 국제고양이애호가협회는 이 고양이를 '이쑤시개가 꽂힌 감자'라고 부른다.
샤트룩스 고양이의 두꺼운 털은 양털과 비교했을 때 더 촘촘해 신체 보호에 적합하다. 4-5살이 되면 이 성묘가 된다.
일반적으로 샤트룩스 고양이는 아이들과 친하다. 아이들과 잘 놀고, 성격이 온순하고 행동이 얌전하기 때문에 여행에 데려가도 문제없다.
집에서는 TV 켤 때 화면에 고양이가 붙어 있거나 창문 위에 앉아 있기도 한다. 샤트룩스 고양이는 잘 웃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웃는 지는 알 수 없고, 상당히 건강한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 ▲ 창가에 앉아있는 샤트룩스 고양이(출처=픽사베이) |
한편, 해마다 2백만명이 방문하는 캐나다 몬트리올 국제 재즈 페스티벌은 샤트룩스 고양이를 마스코트로 삼았다. 이 마스코트 고양이는 'Ste Cat'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이 이름은 페스티벌이 열리는 몬트리올의 Sainte-Catherine 거리에서 따온 것이다.
| ▲ 몬트리올 재즈 페스티벌(출처=플리커) |
[팸타임스=심현영 기자]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