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혈은 사람뿐만 아니라 반려견과 반려묘도 동참할 수 있다. 다만 헌혈할 수 있는 조건이 있으니 미리 참고하자.
반려견이 헌혈을 하려면 아주 건강한 상태여야 하고, 1~8세 연령대여야 한다. 몸무게는 25kg이상이어야 한다. 약물을 복용하고 있거나 다른 국가를 여행한 적이 있으면 안 된다.
헌혈에 적합하려면 사람을 좋아하고 얌전한 성격이어야 한다. 개들에게도 혈액형이 있는데, 특히 DEA 1 음성 혈액형이 희귀 혈액형이기 때문에 이 혈액형을 가진 개의 주인이라면 조건이 맞을 경우 반려견에게 헌혈을 시키면 좋다.
고양이의 경우, 몸무게가 4kg 이상이어야 하지만, 비만이어선 안 된다. 연령은 1~8세 사이여야 한다. 침착하고 얌전해야 하며 동물병원에 갈 때 쉽게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성격이어야 한다. 심각한 질병이나 복용 중인 약물이 없어야 하며 예방접종을 모두 마친 상태여야 한다. 또 혹시 모를 감염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실내에서만 생활하는 고양이여야 한다.
헌혈을 위해 반려동물의 목에 있는 경정맥에서 혈액이 채혈된다. 개의 경우 약 450ml, 고양이의 경우 약 45ml 정도가 채혈된다.
채혈을 시작하기 전에는 반려동물이 헌혈에 적합한지 살피는 검사가 진행되고, 혈액을 채취할 부분의 털을 민 다음 소독한다. 개의 경우에는 보통 진정제나 마취제를 투여하지 않지만, 고양이의 경우는 다르다. 기질이 매우 느긋한 고양이가 아니라면 진정제나 마취제가 투여되기도 한다.
헌혈 과정은 약 30분 정도 걸리며, 1년에 최대 4번까지 실시할 수 있다. 헌혈 전, 헌혈 도중, 그리고 헌혈 후에는 수의사나 관리사가 개와 고양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사후 관리 지침을 알려줄 것이다.
보통 헌혈 후 25시간 정도는 격렬한 운동을 피하고, 충분한 식수와 사료, 간식 등을 제공한다. 만약 식욕 감소나 혼수상태, 구역질, 출혈 등의 징후가 있다면 곧바로 동물병원을 찾는다. 평소보다 타액이 더 많이 분비되거나 과민 반응이 나타나도 수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동물의 헌혈과 관련해서 많은 반려인이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반려동물의 건강과 안전이다.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