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팬데믹과 관련해 각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소비’에 관한 설문조사가 진행됐다. 미국의 경우 반려동물 용품과 식료품 지출이 급증해 눈길을 끈다.
리서치회사 입소스 모리(Ipsos Mori)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18~75세 응답자 중 61%가 개인위생 제품을 포함해 대량의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18~34세 사람 중 37%, 55~75세 사이의 사람 중 74%가 같은 응답을 했다.
21%는 개인위생 제품을 대량 구입하는 것은 괜찮다고 답했고 19%는 감기약이나 진통제를 대량 구매하는 것은 괜찮다고 답했다. 또 통조림 등 부패하지 않는 식품을 구입하는 것은 괜찮다고 답한 사람은 19%였다. 17%는 냉동식품이나 냉동 채소를, 16%는 유통기한이 긴 멸균우유를 사는 것은 괜찮다고 답했다. 또 아이가 없는 사람들은 아이가 있는 사람보다 대량 구매나 사재기가 더 용납할 수 없다고 답했다.
![]()
응답자의 슈퍼마켓 쇼핑 습관과 관련해서는 57%가 식료품 쇼핑 방식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34%는 평소보다 1~2개 정도 더 많은 추가 품목을 산다고 답했다. 대용량 제품을 구매한다고 답한 사람은 7%였다.
미국의 정보, 데이터 및 측정 회사인 닐슨에 따르면, 3월 14일 가장 판매가 급증한 제품이 반려동물 관련 상품이었다. 무려 65%나 늘어났다. 다음이 식료품(62%)이었다. 화장실 용품 등도 46%나 증가했다. 냉동식품은 33% 증가했다.
가장 큰 증가를 보인 다른 제품으로는 아동용 의약품(228%), UHT 우유(181%), 성인 진통제(170%), 파스타(168%), 통조림 파스타(148%), 통조림 고기(147%), 통조림 또는 레토르트 수프(118%) 등이었다. 각 가정이 식료품 쇼핑에 사용하는 비용도 다소 늘었다.
![]()
영국의 2,790만 가구는 일주일에 평균 13파운드(약 1만 9,000원) 정도를 추가로 소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에서도 2월 말 대구를 비롯해 각 지역에서 확진자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일시적으로 쌀과 라면,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의 소비가 늘어났다. 이에 따라 각종 장보기 관련 앱에서 품절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