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픽사베이 |
반려토끼를 원한다면 적합한 품종과 그 습성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하다. 토끼 전문 사육사 조 코르테즈는 반려동물전문지 펫MD와의 인터뷰에서 토끼는 종종 혼란스런 행동을 하기에 반려인이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랜츠릭 수의병원 (Grants Lick Veterinary Hospital)의 원장 젠 콰멘 박사에 따르면 미국내에 50여종의 다양한 크기, 모양, 색깔의 토끼가 있다. 예를 들어 라이온헤드는 큰 갈기를 가지고 있고 네덜란드 토끼는 흑백의 색상 패턴이 있다.
외양뿐만 아니라 번식도 큰 차이를 보인다. 코르테즈 사육사는 "새끼의 수는 종마다 다르다. 작은 토끼는 한 번에 4~5마리를 출산하고 큰 토끼는 8~12마리 출산한다"고 말했다. 성장도 종에 따라 다르다. 작은 종들은 4~5개월까지 크지만 큰 종들은 5~8개월까지 큰다. 코르테즈는 암컷이 숫컷보다 더 빨리 성장한다고 말했다.
종류뿐 아니라 토끼가 내는 울음소리도 차이를 보인다. 특히 토끼는 감정에 따라 세 가지 소리를 낸다. 코르테즈는 "반려토끼가 "끙"과 "탁"소리를 낼 수 있으며 심지어 "가르릉"소리도 낸다"고 설명한다.
토끼가 "끙"소리를 낼 때는 관심을 받고 싶은 것이다. 이 소리는 흥분 혹은 열망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또한 주변의 토끼와 사람에 경고가 될 수 있다. 이 소리를 낸 후 할퀴거나 물 수 있다. 이 소리는 또한 토끼가 현재 상황에 불안하거나 못마땅 할 때 낼 수 있다.
또한 토끼는 이빨을 갈아 "가르릉"소리를 낸다. 이빨을 간다고 착각할 수 있는데 이 소리는 통증이나 질병이 있을 때 낼 수 있다.
토끼가 내는 또 다른 소리는 "탁"이다. 이 소리는 뒷발로 땅에 구르며 내는 소리다. 이 소리는 토끼가 행복하지 않거나 다른 토끼들에게 위험을 알릴 때 사용된다. 두렵거나 긴장될 때 내기도 한다.
섬세하고 예민하지만 그만큼 토끼와의 삶에는 재미난 일도 있다. 토끼는 자신의 감정을 확실히 보여주며 행복할 때는 '춤'을 추기도 한다. 물론 인간의 춤과는 다르다. 기쁠 때 토끼들은 한자리에 서거나 달리면서 공중으로 점프해 머리와 몸을 다른 방향으로 뒤튼다. 이 모습이 마치 춤과 같아서 보는 사람도 즐겁게 만든다.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