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셔터스톡 |
반려인이나 반려견뿐 아니라 반려묘도 고양이도 차멀미로 고생할 수 있다. 멀미는 차, 배, 비행기를 타고 여행을 할 때 위장관이 괴로운 상태이다.
반려묘와 함께 차량으로 이동한다면, 구토, 불안, 발성, 배뇨 또는 배설, 입술 핥기 및 심한 침 흘리기와 같은 특정 멀미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반려묘의 멀미의 원인은 균형조절을 하는 매우 민감한 내이와 관련돼 있다. 특히 멀미는 반려묘가 집을 벗어난 환경에서 불안과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부터 유발될 수 있다.
반려동물 건강 네트워크에 따르면 반려묘의 멀미 예방에 관한 몇 가지 팁이 있다.
1. 캐리어나 여행 케이지 사용에 반려묘가 익숙해지도록 훈련시킨다. 캐리어 내에 선물이나 장난감을 넣어 둬서 반려묘가 자주 이용할 수 있게 유도한다.
2. 적응을 위해 엔진을 켜지 않고 반려묘를 캐리어에 넣어 차 안에 넣어둔다. 반려묘가 적응할 시간을 준다. 그런 다음 엔지를 켜고 차량을 천천히 집에서 가까운 거리까지 운전해 갔다가 돌아온다.
3. 천 조각과 같이 집과 같은 냄새가 나는 물건을 캐리어 안에 넣어둔다.
4. 여행하기 전 약 4~6시간 동안 반려묘에게 먹이를 주지 말아야 한다.
5. 캐리어의 다른 부분을 엎어 반려묘가 앞만 볼 수 있게 만든다.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