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셔터스톡 |
휴가나 파티, 여행을 즐기려는 계획으로 가득 찬 연말이다. 그러나 모임이나 행사가 많은 만큼 사건·사고의 위험이 우리 곁에 숨어 있다.
특히 크리스마스 파티를 반려동물과 함께 보내고 싶은 반려인이라면 안전을 일 순위로 놓고 여러 가지 확인이 필요하다.
먹지 말아야 할 음식들
연말 휴가시즌에 즐기는 최고의 음식들. 물론 사람들에게는 맛과 함께 즐거운 분위기를 가져다주지만, 반려동물에게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심지어 일부는 반려동물의 생명에 치명적일 수도 있어 반려동물에게 가까이 가져다 놓지 않는 것이 좋다. 파티를 일찍 끝내고 싶지 않다면 손님들에게도 반려동물에게 무언가를 먹일 때 조심해달라고 부탁해야 한다.
* 알코올음료는 반려동물들이 먹어서는 안 된다. 음료 안에 들어있는 화합물은 호흡 부전이나 비정상적인 혈액 산성을 일으키며 심할 경우 사망할 수 있다.
* 카페인이나 초콜릿, 커피 역시 반려동물의 생명을 위협시키는 음식으로, 심장 박동을 불규칙하게 만들거나 발작을 일으켜 사망 위험이 있다.
* 차이브나 마늘, 양파 같은 매운맛이 나는 향신료들은 반려동물의 적혈구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되도록 멀리 두어야한다.
* 구운 음식과 단 음식은 절대 주면 안 된다. 특히 인공 감미료 같은 일부 성분은 간에 좋지 않다.
* 기름기가 많은 고기와 육즙, 칠면조 살과 견과류는 설사나 구토, 췌장염을 일으킬 수 있다.
* 효모 반죽으로 만든 음식은 반려동물의 위안에서 이산화탄소를 쌓이게 만든다. 이에 위가 부풀어 오르는 증상이 나타난다.
반려동물이 파티 음식을 먹지 못하게 하려면 파티가 시작되기 전 미리 사료를 먹이는 것이 좋다. 그러나 반려동물과 함께 파티를 즐기고 싶다면 반려동물이 직접 잡고 씹어 먹을 수 있는 음식을 따로 준비하자. 만일 반려동물이 먹어서는 안 되는 음식을 먹었다면 바로 수의사에게 데려가 위급상황을 대비해야 한다.
| ▲ 출처=셔터스톡 |
반려동물에게 위험한 장식용품
파티를 위해 집안 곳곳을 장식할 때도 일부 반려동물에게 독성을 일으키고 다치게 할 것들은 일찌감치 치우는 게 좋다.
* 홀리(Holly)나 겨우살이, 포인세티아 같은 크리스마스 장식용 식물들은 반려동물에게 독성을 일으켜 치명적인 위협을 줄 수 있다. 이들 대신 조화로 꾸미는 것도 괜찮다.
* 크리스마스트리가 단단하고 안정적인지 확인하자. 또한 트리의 솔잎은 반려동물이 먹으면 위장이 찔릴 수 있어 미리 제거해야한다.
* 조명 또한 높게 달아 갑자기 발생할 수 있는 화재나 화상을 피하는 것이 좋다.
* 장식물은 반려동물이 갖고 놀면서 삼킬 수 있는데, 잘못되면 질식하거나 장 폐쇄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입이나, 발 등에 상처를 줄 수 있어 되도록 멀리 두는 것이 좋다.
* 전기코드와 전선 역시 멀리 두자. 반려동물이 물거나 갖고 놀다 감전사를 일으킬 수 있다.
파티는 멀리서
반려동물을 위한 모든 준비가 다 끝났다고 해도 파티 당일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려동물을 다른 방에 있도록 해 손님들의 웃음소리가 소음이 되지 않도록 배려해야 한다. 이런 행동은 반려동물이 다른 곳으로 탈출하는 것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을 위해 차고 같은 곳에 둘 경우 차고에 보관한 부동액을 건드리거나 섭취할 수 있어 위험하다.
손님들에게 주의사항을 알리는 메모를 준비해 반려동물에게 음식을 주지 못하도록 안내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한, 파티가 끝났더라도 남은 음식을 다 깨끗이 치우고 정리한 후 반려동물을 거실로 데려오도록 하는 것이 좋다. 바닥을 포함한 집안 곳곳에 음식이 남았는지 장식물이 떨어졌는지 등의 꼼꼼한 확인이 필요하다.
| ▲ 출처=셔터스톡 |
새해 전날
새해 전날은 크리스마스만큼이나 음식과 축제, 소음으로 떠들썩한 날이다. 반려동물들은 특히 이런 들뜬 분위기에 두려움을 느낄 수 있다. 몇 가지 주의사항을 소개한다.
* 축제를 위해 뿌렸던 색종이 조각들은 모두 깨끗하게 치워놓자. 반려동물 입안으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 반려동물들은 감각이 예민해 소음이 나는 물건들에 겁낼 수 있어 멀리 치우는 것이 좋다.
* 새해 전날 흔하게 볼 수 있는 불꽃놀이는 큰 소리와 타는 냄새로 반려견이 공포를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멀리 떨어져있게 하는 것이 좋다.
연말과 새해 오랜만에 만나는 친구들과 즐거운 파티가 시작되기 전 반려동물의 안전을 확인하는 것인 반려인들의 임무이다. 사람에게는 아무것도 아닌 것이 반려동물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