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 = 셔터스톡 |
아메리칸 컬 고양이의 가장 독특한 점은 귀가 바깥쪽으로 말려있다는 것이다. 이 품종 고양이의 귀는 약 90도 정도 말려 있으며 옆에서 보면 마치 초승달처럼 보인다. 단, 귀가 머리에 닿을 정도로 컬이 심해서는 안된다. 새끼 아메리칸 컬 고양이들은 다른 고양이와 다를 바 없는 귀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생후 1주일이 지나면 귀가 말리기 시작하며 4개월이 지나야 귀의 모양이 완성된다. 아메리칸 컬의 털은 풍성하고 부드럽다. 하지만 속털은 없다. 털 길이는 단모부터 장모까지 다양하며, 모색과 패턴도 여러 가지다.
아메리칸 컬의 탄생은 비교적 최근이다. 1981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살던 그레이스 루가가 귀가 말린 새끼 고양이 두 마리를 발견해 집에서 키우기로 결정했다. 두 마리 중 한 마리는 불의의 사고로 죽었지만, 나머지 한 마리는 루가의 가족과 함께 평생을 살았다.
이 고양이, 슐라미스는 귀가 말린 새끼 고양이들을 낳았다. 루가는 자매인 에스더 브림로우에게 새끼 고양이를 한 마리 입양시켰다. 브림로우의 친구이자 고양이 애호가인 낸시 케이스터가 귀가 말린 새끼 고양이를 특이하게 여겼고, 그녀는 루가에게 연락해 고양이들을 캣쇼에 내보내자고 제안했다. 그리고 곧 아메리칸 컬 품종이 정식으로 인정받게 됐다.
아메리칸 컬은 애교가 많고 온순하다. 새로운 환경에도 쉽게 적응할 정도로 적응력이 뛰어나다. 아메리칸 컬 고양이는 자신의 머리를 좋아하는 사람의 몸에 부딪치는 것을 좋아한다. 아이들과도 잘 어울리기 때문에 자녀가 있는 가정의 반려묘로 적합하다.
건국유업, 반려견 위한 맞춤형 기능성 간식 ‘펫밀리츄’ 3종 출시
광명시, 반려문화와 기후행동 결합한 ‘2025 반려동물 문화축제’ 9일 개최
네츄럴코어, 유기동물 보호소에 기부 연계…‘삐삐’와 함께한 반려 캠페인
화성시 ‘2025 화성 반려동물 행복나눔 축제’ 성료
글로벌 펫산업 전시회 ‘PSC 2025’, 11월 광저우 개최
뮤지컬 '바둑이와 세리' 대학로에서 무대화…강아지들의 따뜻한 모험
한국애견연맹, ‘2025 안성 FCI 국제 도그쇼’ 11월 개막
아디다스, 반려동물용 F/W 컬렉션 중국 시장에 선출시…라인업 확대 통해 펫 패션 시장 본격 진출
야생 너구리, 전염병 매개체로 부각…광견병·ASF 관리 강화 필요
몸 한쪽이 기울어진 이유? 반려동물 호너증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