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팸타임스 이경한 기자 ] 바쁜 꿀벌의 세상
꿀벌은 수분과 꿀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곤충이다. 식물에게 없어서는 안될 수분 매개체 역할을 한다. 꿀벌은 또한 꿀을 생산해 달콤하고 영양이 풍부한 미용 제품도 많이 생산되고 있다.
꿀벌은 꿀벌 상과에 포함된 개미와 말벌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날개 달린 곤충으로 세계에는 약 2만 종에 달하며 남극 대륙을 제외하고 식물과 꽃이 번성 되는 모든 대륙에서 발견된다.
꿀벌 조직
꿀벌은 일벌, 수벌, 여왕벌로 구성된 고도의 식민지를 조직해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벌은 벌집의 청결을 책임지고 꽃가루와 꿀을 수집하여 전체 조직에 음식물로 공급하고, 어린 꿀벌을 돌보기도 한다.
일벌들이 모으는 대부분의 꽃가루는 단백질과 다른 영양소로 사용되며 유충을 위한 먹이로도 쓰인다. 꿀은 일벌들의 에너지 원이 된다. 수벌의 경우 모두 수컷으로 이루어져 있고 알을 낳는 여왕벌과 짝짓기를 하는 일을 주로 담당한다.
한편, 꿀벌의 후각은 꽃을 찾아 꽃가루를 수집하는 데 있어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꽃가루가 꿀벌의 먹이가 되기도 하지만 비행을 통해 꽃가루를 떨어트려 수분한다. 이 때문에 벌꿀의 수분은 생태계 환경에 매우 중요하고 식물과 꿀벌 사이의 관계를 공생(symbiosis)라 부른다.
꿀을 생산하는 꿀벌은 그 종류에 따라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길이는 2㎜에서 39㎜ 사이로 메가칠레 플루토가 세계에 존재하는 꿀벌 중 가장 크기가 크며, 가장 크기가 작은 종은 페르디타 미니마다.
꿀벌은 색상 또한 다양하다. 노란색이 일반적이나 검은색, 갈색, 빨간색이 혼합된 경우도 있으며 파란색 줄무늬를 지닌 종도 있다. 흥미로운 점은 꿀벌은 붉은 색상을 볼 수 없다는 점이다.
꿀벌의 종류
잘 알려진 벌 종으로는 꿀벌, 호박벌, 어리호박벌, 살인벌 등이 있다. 꿀벌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며 벌집에 저장한 꿀과 꽃가루에서 꿀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꿀벌은 사회적 곤충으로 그들의 식민지 조직이 오랜 기간 동안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는 꿀벌을 먹으며 겨울을 지내기 때문이다.
꿀벌은 미국 내에서만 100종 이상의 식물을 수분시키므로 농업에도 유용한 곤충이다. 꿀벌의 날개는 분당 1만 1,000번 펄럭이기 때문에 가까이 가면 윙윙 소리를 들을 수 있다. 꿀벌은 침을 딱 한 번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침이 복부에 달라붙어 꿀벌이 침을 쏘고 날아갈 때 복부의 일부가 찢어져 죽는다.
호박벌 또한 생태계 환경에 도움을 주는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꿀벌과 마찬가지로 작물과 식물을 수분하고 큰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사회적 곤충이다. 그러나 꿀벌과 달리 침을 쏘고도 죽지 않는다. 호박벌의 쏘일 경우 그 고통이 매우 크다는 것도 잘 알려진 사실이다.
호박벌은 주로 땅에 보금자리를 짓지만 다락이나 지붕 처마에서도 호박벌 집이 발견된다. 호박벌은 또한 침입자에 대해 공격적으로 방어하는 경향이 있다.
어리호박벌은 영어로 목수벌(Carpenter bees)이라고 불린다. 이 같은 이름이 붙여진 이유는 어리호박벌이 나무를 뚫을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어리호박벌은 무른 나무에 알을 낳고 그곳에서 어린 벌들을 키운다. 이 벌은 꿀벌 및 호박벌과 달리 사회적 곤충으로 간주되지는 않지만 식물을 수분하기 때문에 환경에 이로운 곤충으로 여겨진다.
또 다른 잘 알려진 꿀벌 종류로 살인벌이 있다. 아프리카 살인벌 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생김새는 꿀벌과 비슷하다. 살인벌이라고 불리긴 하지만 독은 꿀벌보다 위험하지는 않다.
그러나 살인범은 큰 무리를 지어 공격할 뿐 아니라 적을 멀리까지 쫓아가 공격하는 경향이 있다. 꿀벌과 마찬가지로 살인벌도 침은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다.
살인벌을 만났을 경우 그들을 자극하지 말고 지그재그 패턴으로 달려가 집이나 차 같은 내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살인벌이 끝까지 기다리면서 적을 쫓아내는 습성이 있다. 따라서 물 안으로는 들어가지 않는 것이 좋다.
벌침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실과 다르게, 침은 암컷 꿀벌만 쏠 수 있으며 꿀벌의 침은 암컷의 산란관이라 불리는 생식 기관 일부이다.
여왕벌 또한, 산란관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암컷 꿀벌과 여왕벌의 유일한 차이점은 꿀벌은 알을 낳지 않는다는 점이다. 꿀벌은 자신의 독을 자신의 산란관에 붙어있는 주머니에 보관한다.
통계에 따르면 미국에서 기록된 약 100명의 사망자가 꿀벌의 침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 1000회 이상의 벌침을 견딜 수 있으나 유아 및 어린이는 벌침이 알레르기를 유발해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
이경한 기자 fam1@pcss.co.kr
홈스쿨링 급증, "장점 많지만 단점도 생각해야"
유전부터 영화까지…자녀의 창의성 길러주기
소통하고 사랑하라…커뮤니케이션과 공감 통한 자녀 교육 중요하다
자녀 방과 후 수업, 부모-자녀에게 모두 유익하려면
말썽부린 자녀의 올바른 훈육,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핀잔 없는 자녀 훈육법…긍정적인 질문이 답
어린 자녀의 공격적 행동에 대처할 수 있는 부모의 관리 방안
아이 시공간 인식 능력 키운다…'비디오 게임' 장점 과학전 근거 나와
공격성 드러내는 자녀의 '외현적 문제행동', 어떻게 다루나
자녀가 일으키는 행동 문제,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