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여름철 학업 성취도를 높이려면 적절한 냉방이 중요

강규정 2017-08-01 00:00:00

여름철 학업 성취도를 높이려면 적절한 냉방이 중요

[팸타임스 강규정 기자] 미국에서 기상 이변으로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학생들이 학교를 다니지 못하는 사태가 속출하고 있다.

뉴저지주의 학교들은 최근 폭염으로 수업을 중단했다. 이 때문에 학생들이 학교에 다니지 못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뉴저지 주의 주도인 트렌턴 지역의 공립학교들은 7월 초순에 발생한 때이른 폭염으로 지난 3일과 4일 학생들을 조기 귀가시켰다.

또한 일부 학교는 아예 수업을 중단해 교육 과정 단축과 학생들의 학업에 지장이 생겼다.

지역 학부모들은 학생들이 학업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필요한 조치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미국에서는 지난 수십년간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교실 온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려는 여러 연구가 진행됐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심리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학업 환경의 질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을 이끌어냈다.

이러한 연구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교에서 학생들의 학업 수행 능력을 방해하는 요소를 전부 제거하자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교실 환경에 존재하는 학업 방해 요소가 잠재적으로 학생들의 지식 습득 능력 또는 효율적으로 과제를 끝내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교실 온도 사이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는 점의 연장선 위에 서있는 것이다.

트렌턴에는 20개의 공립학교가 있으며, 이 중 에어컨이 설치된 곳은 절반도 되지 않는다.

기온이 치솟는 가운데 최소 7,000명의 학교 직원과 학생들은 마지막 학기(미국의 마지막 학기는 여름에 끝난다)가 끝나가는 데도 폭염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다

여름철 학업 성취도를 높이려면 적절한 냉방이 중요

2004년 폴란드의 한 고등학교 학생들에 의해 수행된 중요한 연구는 학업 성취도와 교실 온도의 상관관계에 대해 다루었고, 교실 내 온도 조절의 정도와 시험 성적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해당 연구는 교실 내 설치된 송풍 시설의 정도와 교실 내 기온이 시험 성적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해 살폈다.

이 연구가 다른 연구들과 구별되는 특징들은 많은 양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다양한 층별 분석이 이루어졌다.

여기에 열적 계수와 냉방의 정도에 더해 학생들 수준의 표준화된 시험 성적 데이터를 수학적 수치로 환산한 데이터가 포함됐다.

연구의 결과는 쾌적한 교실 내 기온과 적절한 냉방이 시험 성적 향상에 도움을 주었고 전반적인 학업 능력을 향상시켰다는 결과를 얻었다.

현재 뉴저지 주에는 학교들이 냉방 시설을 구비해야 한다는 강제 조항이 없는 상태이다. 또한 주는 학생들이 기온에 따라 어느 때에 귀가 조치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도 갖춰놓지 않은 상태이다.

오레건 주의 웨스트뷰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교실 내 온도가 과제 수행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위해 9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온도로 설정된 교실 내에서 일련의 적성검사를 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의 목적은 온도가 학생들의 학업 능력에 얼마만큼 중요하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해당 연구는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어떤 온도에서 가장 오래 집중력을 유지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었고, 이 연구를 진행했던 학생들은 덥지도 춥지도 않은 적당한 온도가 학생들이 집중력을 높이는 데 최적의 온도일 것이라는 가정을 세웠다.

실험에서는 9학년 학생들에게 6곳의 교실에서 모양 기억, 모양 재구성, 기본 도형 모양, 기본 색상, 기초 방정식 등을 푸는 시험을 풀게 하였다. 비교군 내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모두 동일한 나이를 가진 학생들을 실험에 참가시켰다.

여름철 학업 성취도를 높이려면 적절한 냉방이 중요

첫 번째로 진행된 실험에서는 각기 다른 교실에 붙어 있던 각기 다른 포스터가 학생들의 집중력에 각기 다른 영향을 끼쳐 결과에 오류를 범했다.

교실들은 각각 창문 면적과 개수가 달랐으며, 시험을 감독한 감독관들이 각 교실마다 달라 각기 다르게 시험에 관한 설명을 전달해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두 번째 진행된 실험에서는 이러한 변수들을 통제하여 결정적인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고, 학생들이 집중력을 보이는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단일 요소로 온도를 특정지을 수 있었다.

이에 따른 결과는 교실 내 온도가 학생들의 집중 기간에 영향을 미친다는 확실하고 논란의 여지가 없는 증거를 찾지 못했지만 교실 내 온도가 학생들의 학업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개념에는 충분한 타당성을 부여한다.

강규정 기자 fam7@pcss.co.kr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