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매우 다양한 실신 원인....증상·진단·치료법도 알아보자

허준호 2018-12-12 00:00:00

매우 다양한 실신 원인....증상·진단·치료법도 알아보자
▲실신은 갑작스러운 뇌 혈류 감소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고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며 갑자기 쓰러지는 증상을 말한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

실신

실신은 갑작스러운 뇌 혈류 감소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고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며 갑자기 쓰러지는 증상을 말한다. 증상은 수축기 혈압이 60mmHg이하로 떨어지거나 뇌혈류가 6~10초 이상 중단될 때 나타난다. 특별한 조치 없이 수십 초 내 저절로 의식을 회복하는 경우를 실신이라 정의하며 연령이 높아질 수록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특히 70대 이후의 노인이나 여성에서 발생 빈도가 높다.

실신의 원인

실신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실신은 크게 심장신경성 실신, 기립성 저혈압에 의한 실신, 심폐 질환에 의한 실신, 신경계 질환에 의한 실신, 기타 다른 요인이나 질환에 의한 실신, 원인불명의 실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신체 내부 혹은 외부 자극에 대한 체내 자율신경계의 일시적인 과도한 반응으로 발생하는 심장신경성 실신과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이 가장 흔하다.

실신 증상

의식 소실 전에 힘이 빠지거나, 식은땀이 나거나, 메스껍거나, 청각과 시각 기능이 떨어지거나, 쓰러질 것 같은 느낌이 든다면 이것들은 신경성실신을 시사하는 소견이다. 이는 특히 오랜 시간 서 있는 중에, 혹은 대변이나 소변을 보면서 나타나는경우가 많다. 실신 전에 빠른 심박동이나 가슴 통증을 느끼면 심장 질환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실신 진단/검사

병력의 청취를 통하여 많은 실신의 원인 판단이 이루어져, 병력 청취가 가장 중요하다. 또한 신체 검사, 심전도 검사 결과에 따라 선별적으로 추가 검사인 심초음파, 운동부하검사, 24시간 심전도 검사가 이루어 진다. 또한 실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미주신경성 실신의 진단을 위하여 기립경검사가 이루어진다.

실신 치료

실신이 나타나면 즉시 앉거나 눕고 옷을 풀고 다리를 올려 줘야 한다. 이는 뇌혈류량을 늘려주어 뇌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다. 머리를 측면으로 돌려 혀가 기도를 막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별한 원인이 없는데 노인에게 갑자기 실신이 나타났다면 부정맥 등에 의한 심장탓 실신을 의심하고 즉시 병원으로 옮겨야 한다. 심장신경성 실신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실신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생활하면서 주의를 하여도 실신이 다시 발생하는 경우에는 기립경사 훈련이 재발및 부상 방지에 도움이 된다. 효과적인 약제는 아직 없는 상태이다.

[팸타임스=허준호 기자]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