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목의 자세를 자세가 올바르지 않거나 높은 베개를 이용하여 잠을 자는 경우 목디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 목디스크는 경추디스크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정확한 명칭은 경추 수핵 탈출증이다. 목디스크가 발생하는 원인은 대부분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퇴행성목디스크다. 퇴행성 변화를 일으켜 탄력성이 상실된 경추디스크는 굳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디스크 벽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부의 굳어진 수핵이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발생한다. 그밖에 교통사고, 운동 중의 부상 등 외상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목디스크 초기 증상은 뒷목과 어깨 상부의 통증이 가장 흔하게 발생하게 된다. 병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어깨저림 또는 팔의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약화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심할 경우 척수에 손상이 생겨 다리의 힘이 약해지거나 마비가 오는 등의 목디스크증상도 올 수 있다. 대부분 치료를 통해 90%의 환자에서 목디스크증상이 호전되지만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하기도 한다.
목디스크 초기 증상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약물 치료와 물리치료를 적절히 병행하여 시행할 수 있다. 목디스크증상의 경과를 지켜보다 목디스크치료법이 효과가 없을 경우 침습적인 방법으로 목디스크치료법을 변경하게 된다. 침습적인 치료는 흔히 수술적 치료 전에 뼈 주사라고 하는 신경 차단술을 시행하기도 하는데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에 주사를 직접 주입하는 방법을 시행한다. 다만 이러한 목디스크치료법은 근본적인 병을 치료하기보단 통증, 염증 등의 목디스크증상 완화에 목적을 둔 목디스크치료법으로 효과는 일시적이다. 수술적 치료방법은 목을 절개하여 문제가 발생한 디스크를 제거 후 뼈를 하나로 유합하는 방법과 인공 디스크를 사입하는 방법이 있다. 최근에는 내시경을 통해 빠져나온 수핵만을 제거할 수 있는 내시경 수술 방법을 시행할 수도 있다.
목디스크증상을 겪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목디스크 예방의 기본은 목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며 높은 베개의 이용을 삼가는 것이다. 특히 컴퓨터를 통해 작업을 하여야 하는 직업군의 경우 모니터를 눈 높이로 하여 목을 거북목처럼 만들지 않아야 하며 평소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한다면 한 시간마다 스트레칭을 통해 목과 어깨 주변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목디스크 예방에 도움이 된다.
[팸타임스=주나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