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 부신피질 호르몬을 일컫는 스테로이드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물질이며, 우리 몸에서 저절로 만들어져 면역체계에 작용되는 당질코르티코이드와 비슷한 구조를 가진 물질을 이른다. 스테로이드는 일반적으로 주사제나 스테로이드 연고, 구강으로 복용하는 스테로이드 약이 있다. 체내에 존재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에는 테스토스테론과 안드로겐, 프로게스테론, 에스트로겐, 알도스테론, 코티솔 등이 있다.
스테로이드의 사용으로 인하여 인체는 긴장상태가 되어 예민하게 반응하게 되기 때문에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나게 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테로이드는 소염제 중에서도 그 효능이 강하기 때문에 염증을 빠르게 약화시킬 수 있으며 통증이 완화된다. 그렇기 때문에 근골격계 관련 파열 질환이나 퇴행성 관절염에 있어서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곤 한다. 또한 아토피와 두드러기에 있어서도 스테로이드 약을 사용한다. 혹은 근육을 더욱 크게 하기 위해서 스테로이드 근육 강화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탈모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는 경우에도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게 된다.
의학계에 있어서 많이 사용되며 우리에게 많은 점을 안겨주는 스테로이드의 이면에는 다양한 부작용이 존재한다. 스테로이드를 오래 투여하게 되면 부신피질의 기능이 떨어질 수 있어 결국 부신기능부잔증으로까지 번질 수 있다. 이 경우 코티솔이 잘 분비되지 못하게 된다.
스테로이드를 같은 부분에 여러 번 적용을 하고, 스테로이드 약을 자주 복용할 때에는 연골이 닳아지며 골다공증이 생겨 심한 경우에는 뼈가 부러지는 지경에 이를 수 있고, 혈당이 올라갈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스테로이드 연고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는 속성내성이 일어날 수 있다. 다른 스테로이드 연고 부작용으로 인하여 인체는 감염에 취약해지게 되기 때문에 다양한 질병들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스테로이드를 복용하게 되면 혈당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당뇨병이 있는 사람에게 좋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스테로이드 부작용으로 우울증이 일어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우울감이 지속된다면 정신건강의학과를 찾아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보는것이 좋다.
[팸타임스=주나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