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화로웠던 프랑스 파리의 에펠탑(출처=게티이미지뱅크) |
프랑스가 정부의 유류세 인상 등 경제 정책에 항의하는 이른바 '노란 조끼' 시위가 폭력사태로 번지자,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평화적으로 시위를 진행하던 '노란 조끼'시위는 왜 폭력 시위로 변했을까? 그리고 왜 시민들은 하필 노란조끼를 입고 거리로 나왔을까?
| ▲노란조끼 시위로 인해 개선문도 피해를 입었다(출처=KBS1 뉴스 화면 캡처) |
지난달 17일 파리 샹젤리제 거리에는 노란조끼를 입은 시민 28만 명이 몰렸고, 24일에는 파리 뿐 아니라 프랑스 전국에서 10만명이 거리로 나왔다. 이 시위는 프랑스를 넘어 벨기에 등 프랑스어권 지방인 왈로니아와 인도양의 프랑스령 레위니옹에까지 퍼졌다. 시민들이 노란조끼를 입고 나온 이유는 유류세 인상에 반대하기 위해서이다. 노란조끼가 프랑스에서 운전자들을 상징하기 때문에 유류세와 관련이 있는데 프랑스에선 2008년부터 차 사고 등 비상상황에서 인명 구조를 원활히 하기 위해 '눈에 잘 띄는 색깔의 상의'를 차 안에 의무적으로 비치하도록 법제화한 바 있다. 이때부터 형광 노란조끼가 운전자를 상징하게 됐고 이번 시위대도 그런 뜻에서 노란조끼를 입었다.
| ▲평화적 시위가 폭력 시위로 변질됐다(출처=KBS1 뉴스 화면 캡처) |
지난달 17일 시작된 노란조끼 시위는 지난 1일 샹젤리제를 비롯한 파리 중심부 곳곳에서 결국 일부 복면을 쓴 무리들이 폭력을 휘두르며 폭력시위로 변했다. 시위는 평화롭게 시작됐지만 마스크를 한 일부 시위대가 경찰저지선 돌파를 시도하면서 폭력시위 양상으로 발전했다. 복면을 쓴 이들은 금속으로 된 막대기와 도끼 등을 들고 거리로 나서 차량과 건물에 불을 지르며 과격한 시위를 벌였다. 3시간여 동안 시위가 계속되자 경찰은 최루가스와 물대포를 발사하며 강제해산에 나섰고, 시위대는 경찰 밴 차량 2대에 불을 지르며 저항했다. 경찰은 경찰 차량에 불을 지른 용의자 등 시위대 60여명을 현장에서 체포했다고 경찰 측은 밝혔다. 이에 대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샹젤리제 거리 등 파리 중심가에서 벌어진 폭력 사태에 대해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팸타임스=임채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