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을 겪어본 환자들은 그 고통을 '칼로 베는 듯한', '살짝 스치기만 해도 아픈' 등으로 표현한다. 심할 경우 마약 진통제까지 사용해야 할 정도로 극심한 고통을 유발한다. 대상포진은 건조하고 쌀쌀한 요즘 날씨에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겪게 되는 질환이다. 대부분 피부에 국한되어 나타나지만 면역력이 상당히 떨어져 있는 환자의 경우는 전시에 대상포진이 퍼져서 사망에 이를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 질환이다. 따라서 철저한 관리를 위해 대상포진의 원인 및 증상, 전염성, 치료방법, 예방접종, 대상포진에 좋은 음식 까지 알아보자.
대상포진 원인
'대상포진'은 어린이가 흔히 걸리는 수두바이러스가 원인이다. 어릴 때 수두를 앓고 난 후 바이러스는 몸 속에서 완전히 사라지지 않으며 몸 속에 남아 신경을 타고 이동해잠복해 있다가 성인이 된 후 신체의 면역력이 약해지면 잠복해있던 바이러스가 활성화되어 피부로 나타나게 된다. 신체의 면역력은 노화로도 약해질 수 있으며, 암, 에이즈 등의 질병으로 인해서, 방사선, 면역억제제,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복용 등 약물 치료로 인해, 그 외 질병, 사고, 스트레스 등으로 약해질 수 있다.
대상포진은 신경이 있는 부위이면 어디든지 발생할 수 있으나, 특히 잘 발생하는 부위는 몸통이나 엉덩이 부위이다. 대상포진 증상은 바늘로 찌르는 듯한 심한 통증과 피부가 화끈거리거나, 따끔거리는 등 감각 이상이 나타나며 이는 1~3일간 나타난다. 그 후 붉은 발진, 물집이 나타나며 열과 두통이 동반되어 나타날 수도 있다. 좌우 대칭적이 아닌 한쪽에 발생하며, 수포는 2~3주간 지속되다가 딱지로 변하게 된다. 접촉 등에 의해 물집이 터지는 경우에는 궤양이 형성될 수 있다. 피부 병변이 호전되어도 통증이 지속될 수 있는데, 통상 발진이 사라지고 1개월 이상 통증이 지속되면 이를 대상포진후신경통이라고 한다.
대상포진은 이미 전에 수두를 앓았던 사람에겐 전염되지 않지만 수두를 앓은 적이 없다면 전염이 가능한 수두 바이러스 형태로 발병된다. 대상포진의 환자가 물집이 터져 진물이 타인에게 접촉으로 전염이 될 수 있으며 일부 공기를 통해 전염될 수 있다. 수두를 앓지 않은 사람이 대상포진 환자와 접촉을 했다면 수두 예방접종을 받는 방법도 있다. 대상포진 환자라면 물집이 터지거나 튀지 않도록 대한 접촉을 피하고 더욱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다. 대상포진의 재발은 드물지만 면역력이 약한 환자의 경우에는 재발할 수 있는 질환이다.
대상포진 치료방법 및 대상포진 예방접종
대상포진이 발병했다면 빠른 신경 치료가 필요하다. 대상포진의 치료 방법으로는 항바이러스제 복용 및 약물주사 방법이 있다. 대상포진 치료는 발생시기에 따라서 다르게 적용한다. 초기에는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거나 약물 주사를 맞게 되는데 이때 통증이 심할 땐 진통제를 함께 처방하기도 한다. 수포 부위에 염증이 심할 경우 항염제나 스테로이드를 함께 처방 받을 수도 있다. 또한 대상포진은 초기를 넘긴 대상포진은 통증치료와 더불어 면역강화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면역강화치료는 면역 체계를 활성화시키는 약 치료와 주사를 이용한 재생치료가 있다. 먼저 약 치료는 환자 본인의 면역 및 치유력을 높여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또한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평생 1회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일반 병원에서 약 10~20만원에 받을 수 있다.
대상포진에 좋은 음식으로는 면역력을 키우는 음식이다. 대표적으로 버섯, 녹차, 양파등이 있다. 면역려을 높이는 음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버섯은 특히 백혈구 생산을 증진시키고 활발하게 만들어주므로 바이러스 감염에 강력하게 대응하는 힘을 만들어 낸다. 녹차는 과거 10대 건강식품에 속하는 슈퍼푸드 중 하나로 녹차에 들어있는 카테킨 성분은 대상포진을 감소시킨다. 특히 카테킨은 항 바이러스 작용과 증상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대상포진에 가장 효과적인 음식으로 알려진 양파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함유되어있어 항산화 작용과 혈관벽 강화에 탁월하다. 특히 이미 발생한 포진뿐 아니라 증상을 완화시키는 역할도 한다.
[팸타임스=김순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