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톡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가 늘고 있다(출처=JTBC) |
"서울중앙지검입니다" 과거 보이스피싱 사기 일당이 사용한 단골 문장이었다. 최근 보이스피싱 사례는 진화했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영부인 권양숙 여사를 사칭하는가 하면, 유명인이라고 속여 돈을 갈취한 사례도 이어진다.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 보이스피싱 사례도 급증 추세.
| ▲카카오톡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출처=JTBC) |
최근 화제가 된 소식이 있다. 윤장현 전 광주시장이 보이스피싱 사기를 당했다는 것. 윤 전 시장은 지난 지방선거 전, 보이스피싱 일당에게 4억 5천만 원을 송금했다. 사기 일당은 윤 전 시장에게 '권양숙 여사'라고 속여 돈을 갈취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부인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사례다. 개그우먼 이국주 등 연예인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사례도 나온다. 이국주를 사칭한 일당이 주변 지인들에게 돈을 요구한 사실이 알려졌다. 방송인 홍석천도 보이스피싱 사기에 당했다고 털어놨다.
| ▲카카오톡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출처=JTBC) |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 보이스피싱 사례도 급증했다. 카카오톡 계정을 도용해 피해자 지인들에게 돈을 송금해 달라는 식의 사기다. 트와이스 멤버 지효도 이달 초 카카오톡 보이스피싱 피해 사실을 언급했다. 사기 일당이 자신의 어머니에게 5백만 원을 송금하라고 요구했던 것. 카카오톡 보이스피싱 주요 수법은 이렇다. 먼저 네이버 등 포털 계정을 해킹, 네이버 주소록 등 계정과 연결된 주소록으로 주변 정보를 알아낸다. 호칭, 말투 등을 알아내 피해자 주변 지인들에게 돈을 송금해 달라고 말한다. 자연스러운 사기 일당 말투, 호칭, 표현에 피해자들은 늘고 있다. 2016년 약 700건에서 지난해 약 1400건, 올 상반기 약 3000건 등 카카오톡 보이스피싱 피해 신고가 급증했다.
| ▲지난 6월 보도된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출처=KBS) |
보이스피싱 신고는 경찰청(112),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금융감독원(1332) 등으로 하면 된다. 보이스피싱 피해금을 환급받을 수 있는 제도도 있다.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다면 먼저 피해구제(지급정지)를 신청해야 한다. 이후 사기이용계좌 지급 정지, 채권소멸 개시 공고, 채권소멸 확정, 환급액 결정 통지 등의 절차를 거쳐 피해금 환급이 이뤄진다. 자세한 사항은 금융감독원(1332) 등에 문의하면 된다.
[팸타임스=김현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