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암은 피부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총칭하는 말로 기저세포암, 편평세포암, 흑색종, 카포시육종, 파젯병, 균상식육종 등이 있다. 피부암은 피부색이 옅은 사람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눈에 잘 보이기 때문에 진단과 치료는 쉬운 편이다. 특히 암에 비해 전이 확률이 낮기 때문에 사망률도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암의 원인은 질환에 따라 차이가 있다. 기저세포암과 편평세포암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 자외선 노출이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자외선 B와 연관이 있으며, 꾸준히 조금씩 노출하는 것보다 가끔씩 과다하게 노출하는 것이 더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다. 흑색종은 유전적 요인과 자외선 노출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밖에도 하얀 피부, 금발, 소아기의 주근깨, 피부암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은 피부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피부암의 증상은 피부암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기저세포암는 주로 얼굴에서 발생하는데 결절궤양 형태로, 표면이 밀랍처럼 매끈하고 반투명한 결절로 시작된다. 그런 결절이 서서히 자라면 병변 가운데가 움푹 들어가서 궤양이 생긴다. 편평세포암은 얼굴 상부와 손등, 팔등, 아랫입술, 귓바퀴 등에서 발생된다. 결절판모양, 사마귀모양, 궤양 등의 다양한 형태로 증상이 나타난다. 대개 만져봤을 때 딱딱하고, 흔히 보이는 범위를 넘어서서 암세포가 있다.
피부암의 하나인 흑색종은 발병 원인이 정확하지 않으나, 유전적 요인과 자외선 노출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손발가락, 얼굴의 코와 뺨 등에서 발생하는데, 대부분 증상이 없고 평범한 검은 반점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 자세한 관찰이 필요하다. 색깔이 다양하고 직경이 0.6cm 이상인 경우에 흑색종일 가능성이 높다. 가족 가운데 흑색종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사람보다 발생률을 높아진다. 또한 흑색종은 기존의 점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날 때부터 있었던 점이나 전형적이지 않은 점에서 발병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피부암의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 치료와 비수술 치료가 있다. 피부암 수술은 출혈이나 감염 등 수술합병증도 비교적 적기 때문에 안전한 편이다. 수술이 힘들 경우에는 항암요법과 방사선요법 등을 활용해 치료할 수 있다. 하지만 피부암은 다른 암에 비해 전이율이 낮고 항암제에 잘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외과적 수술로 주로 치료하는 경우가 많다.
[팸타임스=조현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