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조류의 번식 과정, 구애 행위부터 부화까지

김준호 2018-11-26 00:00:00

조류의 번식 과정, 구애 행위부터 부화까지
▲새들도 품종마다 저마다의 특성이 있다(출처=123RF)

새는 흥미로운 점이 많다. 수많은 품종의 새들은 저마다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훌륭한 반려동물이 될 수 있다.

새의 구애 행동 이해하기

새도 사람처럼 이성에게 매력을 어필한다. 새가 최고의 짝을 찾기 위해 부딪치는 문제와 어려움을 알기 위해서는 새의 구애 단계를 이해해야 한다. 수컷은 암컷에게 확신을 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실제 교미 시간보다 구애 행동에 많은 시간을 들인다.

짝짓기 행동에는 여러 단계가 있다. 영역 주장부터 잠재적인 상대 앞에서 멋진 깃털을 펼쳐 보인다거나 곡예 수준의 비행을 하고 노래를 부르는 등 시각적·청각적으로 구애를 한다. 이 같은 행동은 암수 두 새가 서로 알아가는 데 도움이 된다. 수컷은 암컷의 짝으로 낙점 받기 위해 힘과 건강, 지능 등을 선보인다.

1. 노래

노래는 가장 일반적인 구애 방법이다. 새들은 노래로 성적 성숙도와 지능을 과시한다. 보통 노래는 수컷이 하는 행동이지만 암수가 교미의 의식으로 함께 노래하는 품종도 있다.

2. 과시 행동

새는 화려하고 눈에 띄는 깃털과 피부 주머니 또는 체형을 과시한다. 자신이 얼마나 강하고 건강한지 보여주기 위해서다. 예를 들어, 공작은 구애하는 동안 화려한 깃털을 과시하는 품종 중 하나다.

3. 춤

새가 다이빙을 하는 듯한 자세를 취하거나 날개를 퍼덕이거나 부리를 비비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것을 관찰한 적이 있다면 그 새들은 이성에게 구애하는 중이었을 것이다. 수컷이 혼자 춤을 추는 동안 암컷은 그저 바라보기만 한다. 그러나 일부 종에서는 암수 모두 같이 춤을 추기도 한다. 수컷이 춤을 추다 실수하면 암컷은 그 수컷이 경험이 없고 약해 보인다고 간주하고 거부하기 때문에 수컷은 매우 조심스럽게 행동한다.

4. 깃털 고르기

암수가 서로 밀접한 접촉을 하고 있다는 것은 구애 단계에 있다는 의미다. 상대방의 깃털을 고르는 행동은 상대방에게 공간적인 경계를 풀고 공격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다.

5. 먹이 주기

잠재적인 짝에게 먹이를 가져다주는 행동은 자신이 언제나 먹이를 구할 수 있으며 나중에 새끼에게도 먹이를 먹일 수 있는 능력을 보이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암컷 근처에 먹이를 놔두고 가는 품종의 수컷이 있는가 하면, 일부 품종의 수컷은 암컷의 입에 직접 먹이를 물어다 준다.

구애 단계를 하는 동안 방해를 받아서는 안 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구애 단계에서 방해 받으면 새가 해를 입을 수 있고 심지어 구애를 포기하게 된다. 따라서 구애를 하고 있는 새들을 보게 된다면 적당한 거리를 두고 가능한 한 관심을 끌어서는 안 된다.

조류의 번식 과정, 구애 행위부터 부화까지
▲수컷은 암컷의 입에 직접 먹이를 물어다주며 구애를 한다(출처=123RF)

새들은 어떻게 짝짓기를 할까?

새들은 봄에 주로 모인다. 봄은 번식의 계절이기 때문에 새들은 이미 '일할' 준비가 되어 있다. 수컷은 번식기 동안 교미할 암컷을 찾는다. 반려동물 전문 매체 스프루스펫에 따르면, 새들은 사람처럼 감정적인 관계를 갖지 않는다. 여러 파트너와 교미를 해 가능한 한 많은 알을 낳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단 암컷이 파트너를 정하면 실제 교미를 하게 된다. 가장 일반적인 자세는 수컷이 암컷의 위에 오르는 것이다. 그러면 암컷은 몸을 구부려 수컷이 균형을 잡을 수 있게 한다. 그 후 암컷이 배설강을 노출하면 수컷이 빠르게 정액을 옮긴다. 단 1초 안에 모든 일이 끝난다.

그 후 정자는 수정하기 위해 난자로 이동하고 며칠 후 혹은 여러 달이 지난 후 알을 낳게 된다. 그 후 새들은 둥지 근처에서 새끼를 기른다. 이 일련의 과정은 새가 가족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는 기회다. 물론 새들에게서 멀찍이 떨어져 있어야 한다. 지나친 관심은 부모 새를 괴롭히는 일이 되며 부모 새는 둥지와 새끼를 버리고 떠나게 된다.

새들의 번식 방법을 이해하는 일은 매우 흥미롭다. 사람처럼 새들도 자신의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며 새끼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노력한다.

조류의 번식 과정, 구애 행위부터 부화까지
▲암컷이 파트너를 결정하면 교미를 할 수 있게 된다(출처=123RF)

[팸타임스=김준호 기자]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