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타임스=한정아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2016년산 공공비축미 36만t(벼 40kg 기준, 1천250만 포대)과 해외공여용 쌀 3만t(벼 40kg 기준, 104만 포대)을 농가로부터 오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매입한다고 18일 발표했다.
공공비축미 중 농가 편의를 위해 산물 형태(수확 후 바로 RPC 건조·저장시설에 보관)로 지난해보다 1만t 많은 9만t을 매입하고, 포대 단위(수확 후 건조·포장)로는 27만t을 매입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아세안+3 비상 쌀 비축제(APTERR)' 운영을 위해 2016년산 쌀 3만t(벼 40kg 기준, 104만 포대)을 추가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아세안+3이란 아세안 10개국과 한·중·일 3개국 간에 쌀 비축량을 사전에 약정·비축하고 비상시 공여하는 국제협약을 일컫는다.
공공비축미 매입 가격은 10∼12월 수확기 산지 쌀값을 반영해 내년 1월중 확정하며, 1등급 벼 40kg 기준으로 4만5천원을 우선 지급한다.
우선 지급금은 농가의 수확기 자금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매입대금의 일부를 출하 현장에서 가지급하는 것으로서 산지 쌀값이 확정된 후에 정산하게 된다.
올해 우선 지급금 4만5천원은 8월 평균 산지 쌀값을 40kg 벼로 환산한 가격(4만8천280원)의 약 93% 수준에서 잠정 결정했다.
다만, 농식품부는 10월부터 신곡 가격이 조사되는 점을 감안해 실제 산지 쌀값에 따라 11월 중 우선 지급금을 재산정하는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
관계자는 "현재 '쌀 대책 비상 T/F'를 가동해 쌀 수급 및 가격 동향을 면밀히 점검 중에 있다"면서 "10월 중순 쌀 예상생산량 발표시기와 연계해 올해 쌀 생산량 등을 감안한 수확기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정아 기자 han@famtimes.co.kr
박용호 아나운서 "둘째 아들 4개월간 실어증"
팽현숙 "최양락, 딸 낳고 울어…나 몰래 묶었다"
[고속도로 휴게소 별미] 경부·호남 등 이영자 맛집 리스트 모음
[지방쓰는법] 매회 소각하는 제사방, ‘현고학생부군신위’만 작성해도 OK? 원칙은
설연휴 고속도로·터널 통행료 면제 어디? 하이패스 미납 조회방법까지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하는 법 전입신고 먼저 진행해야 "필요서류 있으면 인터넷도 가능"
[재테크 꿀팁] 목돈 모으는 방법 "주식 사는법"...2020년 증시개장시간과 휴장일은?
2020년 새해 인사말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경자년 쥐 일러스트 새해 이미지도 인기
2020 한국사 시험일정 제46회 접수기간은 언제부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유효기간 잘 계산해야
[12월 대형마트 휴무일] 이마트 트레이더스 휴일은 언제? 홈플러스와 롯데마트 쉬는 날 '혼돈'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