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정부, 2016년산 쌀 39만톤 매입 추진 결정

김진아 2016-09-18 00:00:00

[FAM타임스=한정아 기자] 농림축산식품부는 2016년산 공공비축미 36만t(벼 40kg 기준, 1천250만 포대)과 해외공여용 쌀 3만t(벼 40kg 기준, 104만 포대)을 농가로부터 오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매입한다고 18일 발표했다.

공공비축미 중 농가 편의를 위해 산물 형태(수확 후 바로 RPC 건조·저장시설에 보관)로 지난해보다 1만t 많은 9만t을 매입하고, 포대 단위(수확 후 건조·포장)로는 27만t을 매입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아세안+3 비상 쌀 비축제(APTERR)' 운영을 위해 2016년산 쌀 3만t(벼 40kg 기준, 104만 포대)을 추가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아세안+3이란 아세안 10개국과 한·중·일 3개국 간에 쌀 비축량을 사전에 약정·비축하고 비상시 공여하는 국제협약을 일컫는다.

공공비축미 매입 가격은 10∼12월 수확기 산지 쌀값을 반영해 내년 1월중 확정하며, 1등급 벼 40kg 기준으로 4만5천원을 우선 지급한다.

우선 지급금은 농가의 수확기 자금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매입대금의 일부를 출하 현장에서 가지급하는 것으로서 산지 쌀값이 확정된 후에 정산하게 된다.

올해 우선 지급금 4만5천원은 8월 평균 산지 쌀값을 40kg 벼로 환산한 가격(4만8천280원)의 약 93% 수준에서 잠정 결정했다.

다만, 농식품부는 10월부터 신곡 가격이 조사되는 점을 감안해 실제 산지 쌀값에 따라 11월 중 우선 지급금을 재산정하는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

관계자는 "현재 '쌀 대책 비상 T/F'를 가동해 쌀 수급 및 가격 동향을 면밀히 점검 중에 있다"면서 "10월 중순 쌀 예상생산량 발표시기와 연계해 올해 쌀 생산량 등을 감안한 수확기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정아 기자 han@famtimes.co.kr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