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타임스=지미옥 기자]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무인기(드론),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기반의 무인계도시스템 등 첨단 무인 순찰장비를 활용해 광범위한 국립공원 일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14년부터 최근까지 전국 국립공원사무소와 국립공원연구원에 총 34대의 무인기를 도입했다.
직원을 대상으로 무인기 운영 역량 강화 교육을 실시해 공원 순찰, 자원 조사, 산림병해충 예찰, 생태계 모니터링, 조난자 수색 등 다양한 공원관리 분야에 활용하고있다.
특히 한려해상 등 해상·해안 국립공원에 '드론 해양순찰단'을 조직해 멸종위기종 등 자연자원 반출 행위 단속에 이용한다.
해양 쓰레기 투기 행위 감시, 해파리·적조 모니터링 등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활동에도 사용되고있다.
CCTV 기반의 무인계도시스템은 국립공원 내 샛길 출입으로 인한 탐방객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생태계 보전을 위해 순찰 인력을 배치하기 어려운 샛길 등 주요 지점에 설치됐다.
무인계도시스템은 CCTV용 카메라, 레이더복합센서, 조명, 경고방송 스피커, 인터넷 장비 등으로 구성됐으며 크게 이동형(이지워치)과 고정형(텔레비트) 2종류가 있다.
현재 전국 국립공원의 샛길에는 이동형 49대를 포함, 총 82대의 무인계도시스템이 배치됐다.
특히 이동형 무인계도시스템은 샛길에 방문객이 출입할 경우 레이더와 적외선 센서로 감지해 '출입금지 구역입니다'라는 안내 음성을 자동으로 방송한다.
샛길 출입 상황을 직원의 스마트폰이나 사무실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송출하는 무선 인터넷 지원 기능도 갖췄다.
관계자는 "산악 고지대나 배가 접근하기 어려운 무인도 등 지역이 넓고 지형이 험한 국립공원 관리를 위해 무인기와 무인계도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며 "앞으로 무인기 운용 전문인력 양성을 비롯해 영상자료 데이터 구축, 무인계도시스템 종합관제 상황실 운영 등 과학적으로 국립공원을 관리할 예정"이라고 언급헀다.
지미옥 기자 jimi@famtimes.co.kr
박용호 아나운서 "둘째 아들 4개월간 실어증"
팽현숙 "최양락, 딸 낳고 울어…나 몰래 묶었다"
[고속도로 휴게소 별미] 경부·호남 등 이영자 맛집 리스트 모음
[지방쓰는법] 매회 소각하는 제사방, ‘현고학생부군신위’만 작성해도 OK? 원칙은
설연휴 고속도로·터널 통행료 면제 어디? 하이패스 미납 조회방법까지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하는 법 전입신고 먼저 진행해야 "필요서류 있으면 인터넷도 가능"
[재테크 꿀팁] 목돈 모으는 방법 "주식 사는법"...2020년 증시개장시간과 휴장일은?
2020년 새해 인사말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경자년 쥐 일러스트 새해 이미지도 인기
2020 한국사 시험일정 제46회 접수기간은 언제부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유효기간 잘 계산해야
[12월 대형마트 휴무일] 이마트 트레이더스 휴일은 언제? 홈플러스와 롯데마트 쉬는 날 '혼돈'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