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질병 중 하나로 자신도 모르게 생기는 가장 흔한 질병으로는 역류성식도염이 있다. 이는 위의 내용물 등이 식도쪽으로 역류하여 발생하게 되는 식도의 염증으로서 일반적으로 그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여러 이물감이나 불편감을 말한다. 대부분 말하는 식도염은 역류성 식도염에 포함되고 음주나 흡연, 비만 등이 강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위의 경우, 위의 입구와 출구인 분문과 유문이 근육에 의해 닫혀 있기 때문에 위의 내용물이 위 아래로 옮겨지거나 하지 않는다. 정확히 필요한 때에 적절한 기작에 의해 조절되는 것인데, 특히나 위산은 산성을 띄고 있어 단백질로 이루어진 상피조직이 손상을 입을 수가 있기 때문에 위산과 섞인 내용물은 식도 쪽으로 역류하면 안된다. 하지만 이러한 조절기능의 약화로 인해 경계부위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 위의 내용물이 역류하여 염증을 발생 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흉부에 통증이나 답답함, 속쓰림, 신트림, 목에 느껴지는 이물감, 목소리 변화 등이 주 증상으로 발현된다.
역류성식도염의 진단은 식도내시경검사, 식도내압검사, 상부소화관조영제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24시간 보행성 산도측정이라는 검사는 위 내부의 내용물이 역류하는 것을 알 수 있는 가장 정확한 검사법이라고 알려져 있다.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는 대게 위산분비억제제를 활용하는데, 양성자펌프억제제 등의 약물로 치료를 한다. 또한 질병이 진행되어 식도 협착이 있다면 수술을 시행해야한다.
[팸타임스=최현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