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D는 우리 몸의 칼슘과 인의 대사 조절을 하는 기능이 있으며, 칼슘기능 유지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다. 비타민D는 햇빛을 통해 충분히 합성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으로 섭취하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오랜 시간 학교나 직장에서 머물거나 실내 생활 등으로 인해 햇빛을 통해 비타민D 합성이 부족하며 패스트푸드와 인스턴트 음식, 다이어트 등을 통하여 음식으로도 비타민D를 올바르게 섭취하지 못해 비타민D결핍에 시달리고 있다.
비타민D는 활성호르몬의 전구체인 프로호르몬(pro-hormone) 형태이며, 간과 신장에서 활성형으로 전환되면 생물학적 기능을 하게 된다. 비타민D는 체내에 흡수된 칼슘을 뼈와 치아에 축적시키며 흉선에서 면역세포가 생산되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신장에서 칼슘과 인산염이 재흡수 되는 것을 돕는 기능을 하고 있다. 혈액 내에 칼슘과 인산염의 농도가 적절히 유지되는 것은 뼈의 석회화에 반드시 필요하다. 그밖에도 임산부비타민D의 역할로 임신중독증, 우울감, 체중조절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D는 각종 생리적 기능 유지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비타민D결핍이 이어지면 골다공증, 낙상, 고관절 골절 발생률이 높아지며 각종 암이나 자가 면역 질환도 높아진다. 또한 비타민D결핍증상으로 인해 비만이나 당뇨병, 심장병, 골다공증, 퇴행성 관절염, 대장암 같은 질병이 발생할 확률이 증가할 수있다. 그 밖에도 비타민D는 뼈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공급이 원활치 못하면 구루병, 골다공증, 다발성 경화증 등의 위험이 증가한다.
비타민D를 햇빛을 통해 합성하지 못한다면 음식이나 액상비타민D 제품 등의 비타민D섭취방법이 있다. 비타민D가 함유된 음식을 살펴보면 등푸른생선, 동물의 간, 달걀노른자, 버섯 등이 있다. 비타민D는 지용성 비타민으로 지방이나 기름과 함께 섭취할 때 체내흡수율이 높아지게 된다. 체내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비타민D를 우유나 마가린, 곡류, 빵 등에 첨가하기도 한다. 액상비타민D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은 캡슐 형태도 있다. 앞서 본 햇빛이나 음식 등의 비타민D섭취방법을 실천하지 못할 때 우리의 인체에 부족한 비타민D를 채울 수 있는 방법이다.
[팸타임스=이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