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내막증이란 자궁안에 있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밖의 복강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가임기여성의 약 10~15% 정도가 갖는 비교적 흔한 질병이다. 자궁내막증은 월경을 하는 여성 즉, 넓은 연령대에서 생길 수 있으며, 관련된 주요 증상으로는 심한 월경통과 하복부 통증, 불임 등이 있다. 자궁내막증은 그 빈도가 매우 높고 흔한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재발률이 높고 계속 진행되는 특성을 보이므로 치료에 많은 애로사항이 있다.
자궁내막증을 발생시키는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이 다음과 같은 요인들로 인해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첫번째는 월경혈의 역류로서 여성이 월경을 하는 경우 대부분의 피는 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만 일부는 난관을 통해 역류하여 복강 내로 들어가게 된다. 이로 인해 난소나 기타 복강 내의 여러 장소에서 자라나 자궁내막증을 유발한다는 설이며, 두번째로는 면역학적 요인이다. 앞서와 같은 이유로 발병 환경이 조성되었을 때 면역학적 기능이 저하된 경우 역행 월경에 의해 자궁내막증이 발생한다는 설이다. 마지막으로 유전적 요인이 있는데, 혈우병과 같이 어떠한 특정 단일 유전자만의 결함이나 중복으로 인해 발생하지는 않지만 일정 부분 발병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내막증을 앓게 되면 심한 월경통이나 만성적 골반 통증, 성교시 통증 등이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증상이다. 크게는 6가지의 증상 유형을 나눌수 있는데, 반복적인 만성 골반통증, 월경시의 통증, 성교시의 통증, 일차적 혹은 이차적 불임증, 월경 직전 또는 월경 중의 배변통, 골반 이외의 장소에서 발생한 자궁내막증 등이 있다.
[팸타임스=최현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