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사와 무관한 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친환경 유기농 제품을 내세운 '오늘습관' 생리대에서 기준치 이상 라돈이 검출됐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실시간 검색어에 올랐다. 이에 오늘습관 측은 공식 홈페이지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라돈 생리대 관련 보도내용을 반박하며 법적 대응 의사를 밝혔다.
![]() |
▲기사와 무관한 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지난 16일 JTBC 뉴스룸에 따르면 오늘습관 생리대에서 라돈 침대로 알려진 대진침대보다 많은 양의 라돈이 검출됐다. 김포대 환경보건연구소 도움을 받아 라돈 측정기로 확인한 결과 생리대에서 법정기준치 148Bq의 10배가 넘는 라돈이 검출됐다는 것이다. 보도내용에 따르면 오늘습관은 생리대에 제올나이트 광물을 사용한 특허패치를 적용했다고 했으나, 전문가들은 제올나이트가 아닌 라돈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진 모나자이트가 쓰인 생리대라고 주장하고 있다. 라돈이 측정된 생리대를 사용할 시 피부암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기타 여성 관련 암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조언했다.
![]() |
▲기사와 무관한 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업체 측은 "보도된 라돈 수치는 국가 인증이 아니라 저가의 라돈측정기인 라돈아이로 측정한 것"이라며 "국가기관 시험결과 당사 생리대는 국내 방사능 안전기준 수치보다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서 받은 방사능 검출시험결과서를 공개하기도 했다.
하지만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소속 한정희 박사는 한 언론사와 통화를 통해 "업체가 공개한 시험 결과서는 라돈 검출 수치와는 큰 연관이 없다"며 "연구원에서 진행한 방사능 검출 시험은 제품의 안전성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 |
▲신중히 생리대를 고르는 여성(출처=게티이미지뱅크) |
한편, 라돈 생리대 보도 이후로 생리대 발암물질 사태 때와 마찬가지로 안전한 생리대를 추천받거나 생리컵, 천생리대, 면생리대 등에 대한 여성들의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라돈 관련 뉴스가 계속되는 만큼 라돈아이 등 라돈 측정기를 무료 대여할 수 있거나 사용법을 파악해 라돈 수치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사람도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보도된 내용에 따르면 음이온 효과가 있는 마스크팩, 속옷 등 제품에도 라돈 검출 가능성이 있어 소비자 불안감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팸타임스=정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