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피린은 해열 및 소염진통제이자 혈전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는 약제이다. 아스피린은 염증과 발열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과 관련된 사이클로옥시게나제-1과 2를 억제해줌으로써 아스피린 효능을 가진다. 더불어 사이클로옥시게나제는 트롬복산 A2의 생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아스피린효능으로 혈전 생성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고용량을 섭취했을 때에는 해열과 소염, 진통 작용을 한다. 아스피린은 아세틸 살리실산이라고도 하며 살리실산이라는 물질에서 유래되었다. 살리실산은 버드나무의 껍질에 들어있는 물질이며 그 역사가 깊어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왔다. 처음 아세틸 살리실산을 사용하였을 때에는 부작용이 많았으나 시간이 흘러 부작용을 감소시킨 약제가 나와있으며 1899년 해열 진통제로 특허를 받게 됨으로써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아스피린효능을 보고 있다. 아스피린은 협심증 등의 허혈성 심장질환을 앓았던 가족들이 있거나 당뇨병이나 비만 등의 위험인자가 있을 경우, 혹은 아스피린 혈압이 높을 경우에는 뇌경색이나 심근경색이 발생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전문의와 상의하고 아스피린의 효능을 위해 복용해야 할 것이다.
아스피린효능 중 100mg 용량의 정제는 해열과 진통, 소염 작용이 있으므로 퇴행성 관절질환이나 감기 등의 질환에 사용할 수 있으며 두통이나 관절통, 근육통 등에도 아스피린효능을 보고자 아스피린이 사용된다. 혈전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100mg를 투여하는 것이 좋다. 이는 CABG(관상동맥우회술), PTCA(경피 경관적 관상동맥 성형술)시행 후에 사용한다. 최근에는 아스피린 치매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스피린 복용시 위장관에서 출혈이 일어나는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고혈압 아스피린 등 심혈관계 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복용하는 약제는 위에서 녹지 않고 장까지 도달하여 흡수되도록 제조되었으므로 위장관 출혈 등의 아스피린 부작용이 줄어든다.
또한, 아스피린은 소화성 궤양이 있거나 아스피린 천식이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를 하지 말아야 하며 혈우병 환자 역시 투여하지 않아야 한다. 혹은 심한 간 및 신장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아스피린을 투여해서 안된다.
[팸타임스=윤보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