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도 다른 동물처럼 기생충 감염에 취약하다(출처=셔터스톡) |
말도 다른 동물처럼 일반적인 기생충 감염에 취약하다. 말의 신체는 그 자체로 생태계나 다름없어서 수백만 가지의 미세한 생물이 기생하며 산소와 영양소, 체열 등을 공유한다. 이러한 기생충들은 말에게서 영양소를 빼앗아 영양실조나 빈혈을 유발하고 통증과 극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말에 기생하는 기생충은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기생충 감염의 징후는 육안으로도 쉽게 관찰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털의 윤기가 줄어들고 갈비뼈가 고스란히 드러나며 꼬리털이 거칠어지고 피부에 통증이 발생한다. 그리고 말의 체중이 줄어들고 최적의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시간이 갈수록 이러한 징후들은 보다 명백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즉시 수의사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1. 라지 레드웜 (원충)
블러드웜 또는 레드웜이라고도 불리는 라지 레드웜은 가장 위험하지만 드물게 나타나는 편이다. 말은 기생충 유충으로 덮인 목초지의 풀을 뜯다가 라지 레드웜에 걸리게 된다. 이 기생충은 적은 수로도 말의 성장 및 신체 기능에 심각한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라지 레드웜 유충은 위장관을 돌아다니다 맹장과 직장 혈관으로 침입해 대량 출혈과 손상을 유발하고 위장 기능과 생명을 위태롭게 만든다. 라지 레드웜에 감염되면 급속하게 체중이 줄고 설사와 배앓이를 하게 된다. 중증의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
2. 스몰 레드웜
스몰 레드웜은 말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흔한 기생충이다. 스몰 레드웜은 라지 레드웜과 동일한 임상 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 기생충은 겨울철에는 말의 소장벽에 기생하고 있다가 봄이 되어서 말이 오염된 목초지에서 풀을 먹게 되면 그 수가 대량으로 불어 위장에 심각한 손상을 입힌다. 그 결과 체중 감소와 설사 증상이 나타나고 기생충이 대량으로 늘면 치명적이다.
3. 회충
회충은 최대 50cm까지 자랄 수 있으며 새끼 당나귀와 어린 말에게 특히 위험하다. 말은 목초지에서 풀을 뜯다 회충에 걸린다. 이 회충은 위장 벽을 뚫고 들어가 간이나 폐 같은 다른 장기로 이동한다. 말은 회충에 걸리게 되면 가장 먼저 기침이 잦아지고 마른 침을 삼키게 된다. 회충이 폐로 이동하면 콧물과 기침을 동반한 호흡계 문제가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는 어떤 항생제에도 반응하지 않고 체중 감소와 복부 팽창, 설사 증상을 보이고 털이 거칠어진다.
![]() |
▲회충은 최대 50cm까지 자랄 수 있으며 특히 어린 말에게 위험하다(출처=셔터스톡) |
4. 요충
요충은 핀처럼 생긴 날카로운 꼬리가 있다. 보통 암컷 요충은 말의 항문에 알을 낳아 가려움증을 유발한다. 말이 요충에 감염되면 지속적으로 엉덩이를 문지른다. 그 결과, 심각한 찰과상이 생겨 꼬리 주변에 탈모와 개방형 상처가 생기고 감염 상태가 된다. 요충은 고온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목초지의 땅을 고르면 요충 박멸에 도움이 된다.
5. 쇠파리
쇠파리는 보통 여름철 목초지에서 가장 기승을 부린다. 작고 노란 알을 말의 다리와 털에 낳아 피부를 자극하는데, 말들은 서로 털손질을 하면서 털에 붙은 쇠파리의 알을 먹게 된다. 이 알이 말의 입 안에 들어가 부화하면 유충이 위장으로 이동한다. 쇠파리의 유충은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지는 않지만, 입 안과 식도에 염증을 유발하고 위궤양으로 번질 수 있다.
6. 촌충
촌충은 보통 최대 길이 8cm, 너비 1.5cm까지 자란다. 촌충에도 여러 종이 있으며 이들은 말의 위장 속 여러 부위에서 군집을 이룬다. 보통 소장과 대장의 연결 부위에 영향을 미치며 소화불량과 배앓이, 그리고 치명적인 폐색 상태까지 이를 수 있다. 말이 목초지에서 풀을 뜯다 감염된 진드기를 먹으면 촌충에 걸리게 된다.
![]() |
▲촌충은 소장과 대장 사이의 연결 부위에 영향을 미친다(출처=셔터스톡) |
일반적으로 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생충은 150여 종이 되며 상당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모든 품종의 말은 하나 이상의 기생충의 숙주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인은 기생충의 수를 억제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많은 주인은 보통 말의 체내에서 기생충을 억제하는 구충 방법에 의존하고 있지만, 이는 잘못된 방법이다. 시간이 갈수록 구충제가 표적으로 삼고 있는 기생충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생충들은 점점 구충제에 내성이 생긴다. 이제까지 말에 관심을 갖기보다 그저 구충제를 먹이는 일에만 신경썼다면 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일 년 중 특정 기생충이 기승을 부리는 적기에 표적 구충 프로그램을 만들어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말의 배설물에서 기생충의 알이 있는지 조사해 구충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말의 기생충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헛간의 위생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팸타임스=김성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