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교정치료는 비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것을 가지런하게 하고 골격적으로 어긋난 부분을 바로잡는 것을 의미한다. 교정치료는 보통 부정 교합이 있을 때 실시한다. 치아교정나이는 어린이부터 성인, 노년층의 경우에도 진행할 수 있으나 소아 및 청소년의 경우에는 악골성장을 조절하며 치아교정을 진행하게 된다. 치아교정종류로는 가철식 고정장치나 고정식 교정장치 등을 이용한다.
치아 크기와 턱 크기가 조화롭지 못하거나, 아래와 위 턱 크기와 형태가 부조화할 경우, 치아 수가 과다하거나 부족한 경우를 '부정교합'이라고 란다. 심미적 효과와 더불어 부정교합을 바로잡기 위하여 치아교정을 실시하고 있는데, 치아교정고통과 치아교정가격을 감수해서라도 부정교합을 바로잡아야 하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부정교합이 일어나면 치아 배열이 가지런하지 못하기 때문에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있기 쉬워 잇몸 염증이 일어나거나 충치가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돌출입의 경우 치아가 가지런하지 못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치아교정을 하지 않은 경우 음식물의 저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소화장애 등의 위장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부정교합이 일어나면 음식물을 씹을 때 턱관절에 무리를 가져다줄 수 있으며 통증이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치아교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대부분의 치아교정나이인 청소년기에는 심리적으로, 외모적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는 시기이기에 개인적 자신감의 고양, 심리적 위축의 방지를 위한 주걱턱치아교정이 필요할 수 있다.
치아교정을 실시하면 구강 내에 보철물이 자리하게 되므로 음식물이 쉽게 낄 수 있기에 충치가 발생하기 좋은 조건이 된다. 그 때문에 칫솔질을 꼼꼼하게 해야 하며 껌이나 캬라멜, 엿 등 달라붙는 음식은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교정장치를 처음 장착하면 치아교정고통을 느낄 수 있으나 진통제를 복용하는 경우는 적은 수준이다. 또한 치아교정 시 보철물의 착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색깔이 짙은 카레나 떡볶이 등의 음식 섭취를 피하는 것이 심미적으로 도움이 된다. 덩어리진 음식이나 크기가 큰 음식은 잘게 잘라먹는것이 도움이 되며, 딱딱한 음식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팸타임스=이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