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귀성길이 길어지면 차멀미를 유발할 수 있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추석이 다가오면서 고향으로 내려가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교통체증으로 인해 차가 막히게 되면 차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면서 멀미를 하게 된다. 멀미가 나면 바람을 쐬는 것이 가장 좋지만 당장 차에서 내릴 수 없는 경우 멀미약을 먹는 것이 좋다. 안전한 귀성길이 될 수 있도록 어떤 멀미약이 있는지 알아보자.
![]() |
▲멀미약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 |
먹는 멀미약은 차, 배, 비행기 등 타기 30분에서 1시간 전에 미리 복용하거나 마시는 것이 좋다. 만약 멀미약을 복용하고 나서도 멀미가 심하다면 4시간 간격으로 복용하는 것이 좋다. 단 감기약, 해열제, 진통제 등 약을 복용하는 경우 멀미약을 함께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3세 이하의 어린이는 멀미약을 먹이지 말아야 한다.
붙이는 멀미약은 과다하게 사용 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한쪽 귀에만 붙이는 것이 좋다. 또 멀미약을 붙이거나 뗄 때 손을 반드시 씻어야 한다. 만 8세 이하의 어린이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만일 붙이는 멀미약을 사용할 경우, 절반만 사용하고 이때도 주의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동이 끝나면 즉시 떼어내야 하며, 버릴때는 부착면을 반으로 접어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버려야 한다.
씹는 멀미약은 멀미할 때 껌처럼 씹는 약이다. 멀미 증상이 나타날 때 씹는 것이 좋으며 10~15분정도 씹다가 일반 껌처럼 버리면 된다. 하지만 전립선 비대 등의 배뇨장애 환자나 녹내장, 간질 환자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또 술을 복용하면 졸음 등의 부작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수면제, 안정제 등 중추신경 억제제를 같이 복용할 수 없다.
![]() |
▲멀미약을 복용하고 난 이후에는 차를 운전하지 않는 것이 좋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우선 차나 배, 비행기를 탄 상태에서 최대한 먼 곳을 보는 게 좋다. 또 탑승 전에는 음식물을 먹지 말아야 한다. 또 차 문을 자주 환기시키는 게 좋으며 멀미가 날 경우, 휴게실에서 자주 휴식을 취해야 한다. 멀미약을 복용했을 경우, 졸음이나 방향감각 상실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운전 동 위험이 수반되는 기계조작은 하지 말아야 한다.
[팸타임스=여지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