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차례 지내는 방법을 통해 차례를 준비해보자(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추석이 다가오면서 차례를 준비하는 집안들이 있다. 하지만 차례의 절차가 복잡하고 차례상은 차려야 할 것이 많아 정확한 방법을 모르는 사람이 많다. 이번 추석에는 차례 지내는 방법을 정확히 알고 온 가족이 함께 차례를 준비해보는 것은 어떨까?
![]() |
▲차례를 지낼 때 술을 총 세 번 따르는데 초헌, 아헌, 종헌이라고 한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 |
1. 강신 : 제주가 향을 피운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한다.
2. 참신 :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
3. 초헌 :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부어준다. 제주는 잔을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집사에게 준다. 집사가 술을 올리고, 젓가락을 음식 위에 놓는다. 제주가 두 번 절한다.
4. 독축 : 모두 꿇어 않고 제주가 축문을 읽는다. 다 읽으면 모두 두 번 절한다.
5. 아헌 : 두 번째로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부인 혹은 고인과 제주 다음으로 가까운 사람이 한다. 초헌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6. 종헌 : 세 번째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자식 등 고인과 가까운 사람이 한다. 이때 7부로 따라서 첨잔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7. 유식 : 제주가 제상 앞에 꿇어앉고, 집사는 남은 술잔에 첨잔한다. 제주의 부인이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은 시접 위에 손잡이가 왼쪽을 보게 놓은 다음 제주가 두 번, 부인이 네 번 절한다.
8. 합문 : 이전에는 문밖에 나가서 기다렸지만, 최근에는 모두 무릎을 꿇고 기다리는 방법을 쓴다.
9. 헌다 :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린다. 밥을 숭늉에 세 번 말아 놓고 수저를 숭늉 그릇에 놓는다. 잠시 무릎을 꿇고 기다린다.
10. 사신 : 숭늉의 수저를 거두고 밥그릇을 닫는다. 일동 두 번 절한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신주는 사당으로 모신다.
11. 철상 및 음복 : 제사 음식을 물리고 난 후 다 같이 나눠 먹는다.
![]() |
▲차례상 차리는 법을 통해 차례상을 잘 차려보자(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어동육서: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놓는다.
동두서미: 생선은 머리를 동쪽, 꼬리는 서쪽에 놓는다.
좌포우해: 생선요리를 놓을 때 왼쪽에는 포를, 오른쪽에는 생선젓을 놓는다.
적전중앙: 적은 잔을 올릴 때마다 바꿔 올리는 제수의 중심음식이기 때문에 상의 중앙(3열)에 좋는다.
홍동백서: 동쪽으로부터 대추, 감, 사과 순으로 붉은 과실을 놓고 서쪽으로부터 밤, 배의 순으로 흰 과실을 놓아 색깔의 현란함을 피한다.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은 홀수를 기본으로 한다. 복숭아는 귀신을 쫓는 음식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에 올리지 않으며 고춧가루와 마늘 역시 같은 이유로 차례상에 사용하지 않는다. 또 붉은 팥을 쓰지 않고 흰 고물을 쓴다. 이전에는 삼치, 갈치 등 '치'가 들어간 생선은 천한 음식으로 여겨져 올리지 않기도 했다.
[팸타임스=여지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