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길을 가다가, 혹은 돌부리에 부딪혀 발목 접질렸을때가 있을 것이다. 이 때는 발목이 삔 것으로 '발목염좌'라고 부른다. 발목염좌는 발목이 심하게 꼬이게 되었을 때에도 일어날 수 있으며 발바닥이 안쪽으로 뒤틀려 일어나게 된다. 발목접질렸을때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손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변형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발목 접질렸을때 한의원을 방문하거나 발목 접질렸을때 병원을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발목 접질렀을때에는 통증이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이며, 종창과 부종이 일어날 수 있으며 심하게 발목접질렸을때에는 파열음이 일어나면서 인대가 끊어지게 된다. 이 때에는 발목 접질렸을때 파스를 바르는 것도 소용이 없게 된다.
발목 접질렸을때 병원에 방문하면 X-RAY 검사를 받게 된다. 이 경우 정상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보이는 경우가 있다. 혹은 뒤꿈치를 잡고 앞으로 당기며 정강이뼈를 뒤쪽으로 민 상태에서 찍는 스트레스 촬영을 하며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급성 발목염좌가 일어났을 경우에는 인대가 파열되었는지 정확하게 알아야 하기 때문에 MRI를 촬영하는 경우가 있으나, 의사의 판단 하에서 검사들이 시행된다.
발목접질렀을때 발에 무리가 가지 않기 위하여 목발을 사용하거나 보조기 치료, 테이핑 치료를 할 수 있다. 보존적 치료로 'RICE 요법'을 실시하는데, 휴식(Rest), 냉찜질(Ice), 압박(Compression), 높여주기(Elevation)요법으로 손상이 일어난 후 발목 통증과 부어오름을 완화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경한 염좌는 발목 접질렸을때 찜질 등 RICE 치료만 진행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발목 접질렸을때 수술이 필요하다면 관절경을 이용하거나 파열된 인대 재건술을 실시한다.
발목 접질렀을때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반복적으로 발목을 접지를 수도 있으며 관절염이 올 수도 있기 때문에 관리를 잘 해야 한다. 특히 발목은 신체의 체중을 지탱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작은 염좌도 방치해두는 습관은 좋지 않다. 또한 염좌로 인한 발목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근력을 유지해야 하며 유연성있게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울퉁불퉁한 길은 주의하며 걷는 자세가 필요하다.
[팸타임스=한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