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청년적금] 2018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일찍 가입할수록 유리, 조건 및 필요서류는?

이다래 2018-09-19 00:00:00

일찍 시작할수록 좋은 사회초년생 재테크 방법으로 '청년우대형청약통장'이 있다. 지난 7월 31일 출시된 청년우대형청약통장은 소득 있는 직장인, 주거비 부담이 있는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도입됐다. 최대 3.3% 우대금리와 함께 비과세 혜택까지 적용된다. 현재 예금 금리가 1%대인 것을 감안하면 유리한 정책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소득이 없는 청년이나 부모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 가입대상에서 배제돼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다. 이에 정부는 부모가 무주택자이이거나 2~3년 후 세대주가 되겠다고 하면 가입할 수 있도록 가입 조건을 완화할 방침이다.

[청년적금] 2018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일찍 가입할수록 유리, 조건 및 필요서류는?
▲만29세 이하 연소득 3천만원 이하, 무주택자라면 누구나 가입가능하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장점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조건은 금리우대, 이자소득 비과세, 소득공제 등 3가지이다.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 대비 연 600만원 한도로 최대 10년간 우대금리 1.5%가 적용된다. 가입 기간 2년 이상 시 최대 10년에 대한 이자소득에 대해 500만원까지 비과세가 적용되며, 무주택세대주에 대해 연 240만원 한도로 40%까지 소득공제된다. 기존 청약통장 기능을 유지하면서 일반 청약통장 금리보다 1.5%p 높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조건

선정기준은 만19~29세 이하(병역기간 최대 6년 인정), 반드시 소득이 있는 자로 연소득 3천만원 이하, 무주택세대주이어야 한다. 근로소득 뿐만 아니라 사업소득, 기타소득 등 1인 창업자, 프리랜서, 학습지 교사 등도 가입 가능하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서류 및 가입방법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은 오는 2021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할 수 있다. 주택도시기금 수탁 은행(우리, 국민, 신한, 농협, 기업, 하나, 대구, 부산은행)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온라인신청은 불가능하다. 은행 방문 시 필수서류를 함께 제출한다. 제출 서류는 발급일로부터 3개월 이내의 주민등록등본, 무주택확약서, 연소득 3000만원 이하 증명 소득확인서류,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이다. 병역기간 인정을 원할 경우 병적증명서가 별도로 필요하다.

[청년적금] 2018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일찍 가입할수록 유리, 조건 및 필요서류는?
▲오는 2021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할 수 있다(출처=게티이미지뱅크)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납입방법

납입방식은 기존의 주택청약종합저축과 유사하다. 1,50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다. 1500만원을 도달한 뒤에는 연간 600만원 한도로 매월 최소 2만원부터 최대 50만원까지 10원 단위로 자유납입 할 수 있다. 정상 납입회차에 추가해 최고 24회까지 선납도 가능하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전환

이미 다른 청약상품을 계약한 경우에도 기존 청약통장을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 대상 조건은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조건과 동일하며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여야 한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전환 방법은 청년 우대형 가입서류 지참 후 해당 은행을 방문하면 된다. 전환해약 시 기존 주택 청약종합저축의 납입 회차와 금액은 인정된다. 반면, 전환신규 시 기존 통장에 적립된 전환 원금에 대해서는 우대이율이 적용되지 않는다.

[팸타임스=이다래 기자]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