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위에 따른 지속적인 손발저림은 대부분 다른 질환의 원인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손발저림 증세는 몸이 보내는 적색경보로 간주한다.
대부분 손발저림을 혈액순환 문제로 생각하기 쉽지만, 정확한 원인은 신경 손상이나 압박에 있다. 부위에 따른 손발저림 의심 질환을 모아봤다.
![]() |
▲손목터널증후군(출처=게티이미지뱅크) |
평소 손 감각이 무디어지거나 손저림 등의 증상을 느꼈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인대가 두꺼워져 손으로 가는 신경을 압박해 생긴다.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1, 2, 3번째 손가락에 저린 증상이 나타난다. 손저림이 지속된다면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 신경전도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리, 엉덩이에 저림증상이 나타나고 허리 통증이 동반된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유독 다리 옆쪽과 뒤쪽이 저리다면 허리척추디스크를, 기침 할 때 통증이 심하다면 척추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목디스크의 경우 손저림과 동시에 손가락에 전기가 오는 듯한 찌릿함과 어깨통증, 두통 등이 동반된다.
![]() |
▲말초신경병증(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손발저림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가 말초신경병증이다. 초기에는 발바닥, 손끝에서 저림이 시작되다가 점차 팔다리 전체로 진행된다. 양손이 대칭적으로 저릴 경우가 많다. 몸 전체에 퍼져있는 말초 신경계에 손상이 있을 경우 나타난다. 걷거나 젓가락질을 할 때도 심한 통증이 동반된다. 심할 경우 마비까지 올 수 있어 저림 증상이 지속된다면 즉시 병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뇌졸중에 의해서도 손발저림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입술이 함께 저리거나 두통, 언어 마비, 어지러움 등이 동반된다. 한쪽 팔다리에만 증상이 일어나는 경우 뇌경색, 뇌출혈 등을 의심해볼 수 있다.
당뇨환자의 경우 손, 발 끝에 말초신경감각이 떨어져 손발저림 증상이 흔하게 나타난다. 당뇨병을 오래 앓아 왔거나 혈당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는 환자의 경우 증상은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주로 발과 하지에서 지속적임 저림과 무딘 감각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하복부 측면까지 감각 저하가 퍼지기도 한다.
[팸타임스=이다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