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asthma)은 폐 속에 있는 기관지가 아주 예민해진 상태로, 기관지가 좁아져서 숨이 차고 가랑가랑하는 숨소리가 들리면서 기침을 심하게 하는 증상을 유발하는 병이다.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 반응 때문에 발생하는 천식은 알레르기 질환으로 사람을 통해 천식 감염이 있을 수 있다는 상식은 옳지 않다. 천식은 발작적으로 나타나며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합쳐져서 나타나게 된다. 공기가 흐르는 길인 기관지의 염증으로 기관지 점막이 부어 오르고, 기관지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기관지가 막혀서 숨이 차게 된다.
천식 원인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합쳐져 생기는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이다.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알레르기 체질과 주위의 천식 원인 유발인자들이 상호 작용을 일으켜 면역체계에 혼란이 생기면서 천식이 발생하게 된다. 천식 원인 유발인자는 원인 물질과 악화 요인이 있다. 원인 물질을 알레르겐(allergen)이라고 하며,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동물 털이나
비듬, 바퀴벌레, 식품, 약물 등이 알레르겐에 속한다. 그 밖에 악화 요인은 감기, 담배연기, 실내오염, 대기오염, 운동 등이 있다.
기관지천식증상은 호흡곤란, 기침, 천명이다. 이러한 천식 증상이 반복적으로, 발작적으로 나타나지만 실제로 기관지천식 환자는 전형적인 천석의증상 외에 비전형적인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흔히 있다. 즉, 호흡곤란이나 천명 등의 천식의 증상이 없고 마른 기침만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가슴이 답답하거나 흉부 압박감을 호소할 수 있으며, 목구멍에 가래가 걸려있는 듯한 이물감만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감기에 걸린 후에 호흡곤란이 악화하거나, 달리기 같은 운동 후에 호흡곤란, 거친 숨소리 등의 천식 증상들이 많이 발생한다.
천식치료는 약물요법과 면역요법이 있다. 천식치료 약물은 좁아진 기관지를 짧은 시간 내에 완화시키는 증상 완화제와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을 억제하여 천식발작을 예방하는 질병 조절제로 천식약이 구분되어 있다. 면역요법은 알레르기 원인이 확실하지만 환경 관리만으로는 효과적인 치료가 어려운 경우에 시행되는 치료법이다. 집먼지 진드기나 꽃가루와 같은 특정 알레르겐이 천식 원인일 경우만 효과가 있는 천식 치료법이다.
[팸타임스=주나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