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와 식도를 자극하면서 가슴 부위부터 목까지 타들어가는 듯한 느낀다면 역류성식도염의 증상이다. 식사 후 트림과 음식물이 역류하고, 목과 가슴에서 답답하고 양치를 해도 입안에 찝찝한 기운이 계속 남아있다. 위에서 분비된 위액을 비롯해서 소화 효소들이 식도로 역류하여 염증성 손상을 일으킨다. 위염이나 위산과다 분비일때 식도에 비슷한 통증이 발생된다.
![]() |
▲역류성식도염 원인(출처=게티이미지뱅크) |
맵고 짠 음식이 많은 한국 음식 특성상 역류성 식도염 증세가 나타날 수 있으며,비만인 사람의 경우 복부지방이 위를 압박하여 위액이 역류하는 경우도 있다. 커피 등의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를 마셔도 역류성식도염을 일으키는 주범이 된다. 또, 담배와 음주도 원인에 큰 영향을 준다.
![]() |
▲역류성식도염 치료(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역류성식도염은 생활습관만 잘 개선해도 치료에 도움이 된다. 우선, 식후 3시간 이내 누우면 안되고, 취침시 상체를 약간 높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비만인 경우는 체중감량을 하고, 술, 담배, 고지방식, 커피, 차, 콜라, 초콜릿, 오렌지주스, 토마토 등을 자제한다. 과식이나 야식은 피하고 조이는 옷도 가급적 피한다.
![]() |
▲역류성식도염을 예방하는 식사요법(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섬유질 식사는 변비를 완화하고 배변의 긴장을 줄여 상부 위장관으로의 압력을 줄여줘 역류성 식도염에 도움이 된다. 음식을 섭취할 때 몸을 숙이는 자세보다 가능한 목과 허리를 최대한 핀 상태에서 음식을 먹는다.
[팸타임스=김지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