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거 허리디스크는 40~50대 중장년층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질환으로 여겼지만 최근에는 청소년과 2030 젊은 연령층에서도 자주 발생하는 질환이 됐다.
청소년, 젊은 연령층에서 허리디스크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구부정한 자세 때문이다. 업무를 하면서 장시간 앉아있거나 평소 다리를 꼬는 자세, 과도한 PC 사용은 허리디스크를 발생시킨다.
허리디스크는 추간판탈출증으로도 불리는데 허리뼈와 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 즉 디스크가 탈출하면서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퇴행성 변화, 선천성질환, 척추측만증, 무거운 물건을 반복적으로 들어 올릴 경우, 교통사고 및 바르지 못한 자세 등 다양한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은 일정하지 않아 통증과 증상도 개인 마다 큰 차이를 보인다. 추간판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허리디스크는 환자에게 즉각적인 고통을 전달하며 대부분 바르게 서 있을 수 없을 정도로 통증과 마비증상을 함께 느낀다.
하지만 추간판의 일부 탈출로 유발된 허리디스크는 환자가 통증을 전혀 감지하지 못하거나 불편한 감각만을 느낄 수 있다.
허리디스크 증상 초기에 병원을 찾는다면 도수치료, 물리치료, 올바른 자세 교정 등의 비수술적치료 방법을 통해 증상 개선을 시도해 볼 수 있다.
그 중 도수치료는 수술적 처치 없이 전문치료사가 손을 이용하여 통증이 있는 부위의 근, 골격 조직을 손으로 직접 만져서 자극해 통증 완화시키는 방법이다. 도수치료는 손을 이용한 비수술적 치료로 통증 개선과 함께 체형교정도 가능한 방법으로 허리디스크 등 치료에 적합하다.
또한 수술, 입원 필요 없어 부담감이 적고, 치료시간이 짧아 치료 후 일상 복귀가 빠르게 진행된다. 또, 수술하지 않기에 절개나 마취과정이 필요 없고, 고령자, 당뇨, 고혈압, 만성 질환 환자도 안전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안산 선부동 선부재활의학과 안승호 원장은 "허리디스크는 허리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으로 척추 건강을 유지하면서 디스크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꾸준히 걷기 운동을 한다면 오랜 시간에 거쳐 허리 근력이 강화되면서 척추 전반으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운동을 통해 허리근력을 강화한다면 병원에서 도수치료와 같은 전문 치료사의 지도를 받으며 환자의 건강상태에 알맞은 운동을 진행하는 편이 좋다"고 조언했다.
[팸타임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