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신을 하는 순간부터 여성들의 몸은 크게 변화한다. 가장 먼저 호르몬의 변화가 생기며,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면 융모라는 조직이 발생하고 또한 수정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융모성선호르몬을 분비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출산 과정에서 몸이 틀어지고 온몸의 기력이 쇠하는 등 변화가 찾아오며, 힘겨운 출산을 마치고 난 후에는 아이를 돌봐야 하는 등 산모 자신의 건강을 돌보는 것도 쉽지 않다.
송파구 삼전동에 있는 올바로네트워크 잠실삼전점 아침맑은한의원 임형재 원장은 "이렇게 자신의 몸을 돌볼새 없이 지내다 보면 자칫 산후 후유증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전하며 "출산 후 몸이 서서히 원래대로 돌아가긴 하지만 임신 전과 같은 상태로 돌아가려면 산후보약 및 치료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보통 출산 후 산후조리원에 들어가서 몸조리를 하거나 또는 산후도우미를 통해 집에서 몸조리를 하는 산모들도 적지 않으며, 이에 산후보약의 경우 조리원, 집, 회사 등 어디에서든 꾸준히 복용할 수 있어 편하게 몸조리를 할 수 있다.
산후 몸조리를 위해 산후보약을 제조할 경우 체질에 맞게 처방 받는 것이 중요하며, 몸조리 기간에 맞춰 효능을 달리해야 한다. 이처럼 처방 기간은 산모 건강 상태에 따라 상이하며, 모유수유를 촉진하는 기능도 있어 아이에게 해로울 일이 없고 또한 산모의 건강을 증진시키면서도 아이에게 좋은 효능을 내기 때문에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다.
구로구 구로디지털단지역 인근에 위치한 올바로네트워크 경희배흘림한의원 정용재 원장은 "산후보약은 산후풍 예방 및 어혈 배출, 기혈 보강, 체중 감소, 부종 감소 등에 도움이 되며, 산모의 건강을 빨리 회복하도록 단계적으로 처방하게 된다."고 전하며 "몸 안에 남아있는 각종 노폐물을 배출하고 체중, 산후풍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이어 "산후보약은 처방하기 전 정확한 진단과 함께 처방 받아야 하며, 복용 중 변화 과정이나 생활 변화 등을 자세히 판단해 치료 방향을 잡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팸타임스=박태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