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자다가 돌아다니는 소아 몽유병, 원인과 치료 방법은?

김성은 2018-08-06 00:00:00

자다가 돌아다니는 소아 몽유병, 원인과 치료 방법은?
▲한 손에 테디베어 곰을 들고 있는 아이(출처=123RF)

잠든 아이가 한밤중에 마치 깨있는 상태처럼 걸어 다니고 이야기하며 행동하는 것을 본 적이 있는가? 다치거나 사고가 날 수 있어 부모 입장에서는 정말로 불안할 수밖에 없다. 눈은 뜨고 있지만 초점이 흐릿하고 반응하지 않는 아이, 몽유병을을 의심해보자.

소아 몽유병

몽유병 또는 수면보행증은 아이가 잠든 상태에서 일어나 실행에 옮긴 행동을 인식하지 못하는 수면 장애다. 전문 수면 상담사인 크리스티 실리오는 몽유병이 수면 도중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행동 유형이며, 치료제보다는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거의 모든 형태의 사건수면의 원인 중 하나는 지나치게 피곤하거나 적절한 수면이 부족하기 때문. 최선의 치료법은 회복적인 수면, 즉 아이가 충분히 잘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몽유병의 3가지 유형

몽유병, 즉 수면보행증에는 단순 수면보행증과 위험 수면보행증, 공포 수면보행증 이렇게 총 세 가지 유형이 있다.

단순 수면보행증(Simple somnambulism) : 아이가 잠자리에서 일어나 어설픈 동작을 취하고 때때로 말도 하는 것을 단순 수면보행증이라고 한다. 집안을 돌아다닌 후 다시 잠자리로 돌아간다.

위험 수면보행증(Somnambulism at risk) : 몽유병 증상이 최소 10~20분 정도 지속되고, 일주일에 2~3회 발생할 때 위험 상태로 간주한다. 아이들이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하다. 아이가 집안 어딘가에 부딪칠 수 있고 계단 아래로 구르거나 미끄러질 수 있다.

공포 수면보행증(Terror somnambulism) : 아이가 무의식 상태에서 공격성을 보이거나 방어적으로 행동한다. 집안을 뛰어다니거나 비명을 지르고 울기도 한다. 하지만 잠에서 깨면 자신의 행동을 기억하지 못한다.

몽유병의 원인

몽유병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피로와 수면 부족, 불규칙한 수면 습관, 스트레스, 불안, 기존과는 다른 수면 환경, 질병, 발열, 진정제나 항히스타민제 같은 특정한 치료제, 가족력 등이 있다.

드물지만, 잠을 자는 동안 일시적으로 호흡을 멈추는 수면장애인 수면성 무호흡, 편두통, 하지불안증후군(RLS), 머리 부상 같은 질병의 증상일 수도 있다.

자다가 돌아다니는 소아 몽유병, 원인과 치료 방법은?
▲숲에서 잠들어 있는 아이 (출처=123RF)

몽유병 확인하려면?

아이가 한밤중에 자리에서 일어나 돌아다니는 것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집 안을 돌아다니거나, 계단을 내려간다거나, 가구를 피해 다닌다. 심지어는 눈을 뜬 상태에서 질문에 답하기도 한다. 이때 아이의 두뇌 상태는 잠을 자고 있는 것보다 각성 상태에 가깝다. 몽유병 상태인 아이를 위해 할 수 있는 최선의 행동은 다치지 않도록 집안에 위험한 물건은 미리 치워놓고 아이를 잘 달래서 다시 잠들게 하는 것이다.

몽유병 치료하려면

아이가 몽유병에서 벗어나 숙면을 취하게 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소아몽유병은 보통 사춘기에 이르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단순 수면보행증일 경우, 스트레스가 해결되면 몽유병의 원인도 없앨 수 있다. 아이가 고통을 겪거나 괴롭힘을 당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확인한 후 그 원인을 해결하면 되는 것이다.

반면, 지속적으로 몽유병을 겪고 있다면,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불안을 치료하는 데 처방되는 정신병 치료제인 벤조디아제핌이나 항우울제를 처방받을 수 있다. 비록 치료제가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시기가 올 수 있지만, 숙면에는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의사들은 비교적 효과가 있는 최면 요법을 권하기도 한다. 수면 실험실에서 하룻밤을 보내는 수면 연구도 있다. 전극을 신체 특정 부위에 부착한 후 심장 박동과 뇌파, 호흡률, 근육 긴장, 눈과 다리의 움직임, 혈중 산소 수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카메라로 수면 상태를 촬영, 주요 원인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몽유병이 고질적이라면, 의사는 '예정 각성법'을 권장할 수도 있다. 며칠 밤 동안 아이의 몽유병 증상을 관찰한 후, 몽유병 증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 15분 전에 아이를 깨우는 것이다. 아이의 수면 주기를 새로 만들고, 몽유병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

자다가 돌아다니는 소아 몽유병, 원인과 치료 방법은?
▲밤하늘을 바라보고 있는 아이(출처=123RF)

[팸타임스=김성은 기자]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