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멸종위기 애기뿔소똥구리 인공증식에 성공…자연 품으로 돌아갔다

김성은 기자 2020-10-22 00:00:00

(사진=한국의 멸종위기종 애기뿔소똥구리 네이버지식백과 캡처)
(사진=한국의 멸종위기종 애기뿔소똥구리 네이버지식백과 캡처)

인공증식에 성공한 멸종위기 생물종인 애기뿔소똥구리 100개체가 자연의 품으로 돌아갔다.

제주테크노파크(J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영산강유역환경청, 제주특별자치도 등 관계기관과 함께 지난 16일 서귀포시 남원읍 일원에서 멸종위기 급 애기뿔소똥구리를 방사했다.

J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환경부 지정 서식지외보전기관이다. 지난 201112월 환경부로부터 서식지외보전기관으로 지정된 이래 영산강유역환경청 및 제주특별자치도와 함께 애기뿔소똥구리, 물장군, 두점박이사슴벌레 등 멸종위기 생물종의 개체 복원 사업을 수행해오고 있다.

그동안 J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201250마리를 시작으로 2014150마리, 201580마리, 2016150마리, 2017350마리, 2018년과 2019년 각 300마리 등 1380마리를 복원해 자연에 방사한 바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인공증식에 성공한 300개체 중 100마리를 방사했다. 이 가운데 40마리는 공개적으로 방사했고, 나머지 60마리는 불법포획 방지 차원에서 비공식적으로 방사했다.

애기뿔소똥구리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급 소똥구리과 딱정벌레로 딱지날개에 세로로 가늘게 패인 줄이 나 있고, 수컷은 이마에 긴 뿔이 1개 있다. 몸은 광택이 강한 검은색이며 길이는 1.3~1.9cm이다. 소나 말과 같은 가축분 밑에 굴을 판 후 가축분을 운반해 먹거나 알을 낳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애기뿔소똥구리는 과거 목초지를 중심을 널리 분포했다. 초식동물의 똥을 먹어 치우는 환경 정화 동물이지만 축산 환경 변화로 최근 서식할 수 있는 목초지가 감소하고, 인공사료에 첨가되는 방부제, 가축에 사용되는 항생제 및 살충제 등의 영향으로 서식 환경이 크게 변화하면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종에 포함됐다. 소똥구리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곤충이지만, 현재는 인공 증식을 통해 개체를 증식하고 복원해야 할 정도로 멸종위기에 처한 종이 많다.

(사진=한국의 멸종위기종 애기뿔소똥구리 네이버지식백과 캡처)
(사진=한국의 멸종위기종 애기뿔소똥구리 네이버지식백과 캡처)

 

소똥구리가 사라진 주요한 원인은 1970년대 이후 가축의 사육 환경이 바뀌었기 때문. 가축의 방목이 줄면서 목초지가 감소했고, 소는 식용이나 우유 생산을 목적으로 대규모로 집단 사육되기 시작했다. 사료를 먹은 소의 배설물은 섬유질이 부족해 소똥구리가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여기에 소에게 먹인 항생제가 배설물에 섞여 소똥구리 애벌레 성장을 방해하게 돼 개체수가 감소하게 됐다. 다행히 절멸 위기에 놓이지는 않아 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지정한 곳에서 인공 증식을 시도해왔다.

J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와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소규모로 행사를 진행한 가운데 국내 멸종위기종에 대한 보호와 환경인식을 널리 공유하기 위해 앞으로 초등학생과 지역주민 등이 참여하는 행사도 계획하고 있다.

정용환 J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장은 지속적인 멸종위기종 복원 사업을 통해 사라져가는 생물종을 보전하고, 많은 사람들이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해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나가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