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을 위해 상어 최대 50만 마리가 포획될 위기에 직면했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영국 텔레그래프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개발 원료로 사용 중인 '스쿠알렌'을 추출하기 위해 수많은 상어들이 희생될 것이라 보도했다.
스쿠알렌은 상어의 간에서 추출되는 천연 기름으로 면역증강 물질이 풍부해 주로 면역력 보조제나 독감 백신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많은 제약회사들이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해 스쿠알렌을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영국 제약회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은 지난 5월 코로나19 백신을 위해 약 10억 회 분량의 스쿠알렌을 확보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문제는 스쿠알렌 생산에는 엄청나게 많은 상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미국 비영리 상어보호단체 샤크 앨라이스(Shark Allies)에 따르면 스쿠알렌 1톤을 생산하려면 약 3천마리의 상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상어 스쿠알렌을 원료로 한 코로나19 백신을 전 세계인에게 맞힐 경우 상어 25만 마리가 목숨을 잃는다는 것이다.
매년 300만 마리의 상어가 화장품 및 기계유 제조를 위해 도살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 백신으로 포획되는 상어가 더욱 증가한다면 멸종 위험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에 샤크 얼라이언스는 "야생동물로부터 성분을 추출하는 행위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이번 감염병 대유행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상어 포획이 지속된다면 수많은 상어가 매년 희생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일부 업체에서는 상어의 멸종 방지를 위해 스쿠알렌과 유사한 효과를 가진 대체제를 개발하는 등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고 알렸다.
일본, 반려동물 진료비 표준화 시범사업 본격 시행
미국, 반려동물 항공 사고 증가에 기내 운송 기준 재정비 착수
기억력·사회성·지능까지…코끼리, 몸집 너머의 진화
물 마시기도 전투도 목으로…기린이 살아가는 방식
'지능은 침팬지급, 언어체계 존재'…과학이 밝혀낸 돌고래의 놀라운 세계
멸종위기 고릴라 무리, 아프리카 자연 보호구역서 처음으로 새끼 출산 확인
[기획] 도시 팽창과 산불이 만든 그림자…야생 코알라, 생존의 기로에 서다
호주 NSW 주정부, 멸종 위기 코알라 서식지 보호구역 추가 지정
‘숲속의 붉은 그림자’…래서판다, 작지만 독립적인 고산 숲의 거주자
야생 20년, 사육지에선 30년…판다의 수명에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