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외출은 줄이고 온라인 쇼핑이 많아진 가운데 비 필수 제품의 경우 온라인 쇼핑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미국 뉴스 매체 허프포스트의 모니카 토레스는 비필수적인 제품을 되도록 구매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보도했다. 온라인 주문이 대폭 늘어나면서 창고 노동자 및 배달 노동자들의 업무량이 늘어난 가운데, 근무 환경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팬데믹 상황처럼 갑자기 온라인 쇼핑이 늘어나는 시점에는 비필수적인 제품의 온라인 구매를 미루거나 삼가는 편이 좋다.
온라인으로 산 물건을 배송받았을 때 구매자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창고나 운송 업체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업무량이 높아지고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 또한 더 높아진다. 이들을 배려하기 위해서는 비필수적인 제품은 오프라인에서 구입하거나 온라인 구입을 잠시 미뤄야 한다는 것이다.
허프포스트는 “자신과 지역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서는 정말 필수적인 물건 구매에 집중하는 편이 좋다”고 강조했다.
![]()
한편, 정보서비스 회사 클래리베이트애널리틱스와 마크모니터가 함께 조사한 바에 따르면, 소비자의 30%는 지난 5년 동안 한 번 이상 가짜 제품을 구입한 적이 있었다. 49%는 의도하지 않게 가짜 제품을 선물용으로 구입했고, 45%는 선물용으로 구입한 제품이 가짜일까봐 우려하고 있었다. 84%는 불법적인 혹은 해적판 상품을 절대 구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의 22%는 쇼핑의 26~50% 정도는 온라인 쇼핑이라고 말했고 20%는 75~100%가 온라인 쇼핑이라고 말했다.
온라인 쇼핑을 대부분 하는 사람의 68%가 그 이유로 편의성을 꼽았다. 다음은 선택지가 많다는 답변이 46%였다. 검색이 쉽다는 답변은 49%, 가격이 저렴하다는 답변도 49%였다.
![]()
온라인 쇼핑 시 염려되는 문제에 물었을 때 응답자의 65%는 정보를 도용하는 해킹이라고 말했다. 응답자의 59%는 신원 도용이라고 답했다.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쇼핑몰의 평균 신뢰도는 88%로 드러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