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전 세계 여행 산업이 타격을 받고 있다. 여행 애호가들이 바이러스 감염을 피하기 위해 집에 머무르는 것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과 전세계 스포츠 기관들도 잇달아 주요 컨퍼런스 및 경기를 취소하거나 연기하고 있다. 세계 항공사들도 중국과 이란, 이탈리아 바이러스 피해가 심각한 지역의 비행을 중지하고 있다.
여론조사회사인 유고브(YouGov)가 미국 성인 1,124명(2020년 3월 5~6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올 봄 여행을 계획한 응답자 중 23%가 감염을 피하기 위해 추가 예방 조치를 했다고 답했다. 17%는 계획을 변경했으며 9%는 향후 여행 계획을 세우지 않기로 결정했으며 8%는 여행 계획을 취소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발생한 여행지로 여행하는 것이 편안한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40%는 “매우 불편하다”고 답했으며 24%는 “어느 정도 편안하다"고 답했다. 그리고 11%는 “모르겠다”라고, 10%는“약간 편안하다"고, 6%는 “매우 편안하다"고 답했다.
![]()
지난 3월 25일 기준, 시장조사기관인 해리스 폴(Harris Poll)의 조사 결과 미국인의 51%가 코로나 19로 인해 여행 계획을 취소하거나 연기했다고 밝혔다. 2020년 21~22일까지 미국 성인 2,023명 중 70%가 여행을 가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66%는 식당에서 식사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여행 의사 측면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더욱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예를 들어, 남성(62%)에 비해 여성 중 77%가 발병 기간 비행기를 타지 않겠다고 답했다. 그리고 바이러스 발병 기간 외식 같은 다양한 활동 여부에 대해 질문하자 자제하겠다고 답한 응답자 비율이 43%에서 66%로 증가했다.
미국인 중 21%는 바이러스가 잠잠해지면 1개월 이내에 호텔 투숙을 하겠다고 답했으며 20%는 3개월, 60%는 6개월이라고 답했다. 정부가 코로나 19가 약화됐다고 발표한 경우 응답자의 15%는 한 달 내에 비행기를 타겠다고 답했지만 16%는 3개월, 49%는 6개월이라고 밝혔다.
한편, 크루즈 업계는 발발 시점부터 회복이 가장 느린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인 중 57%는 바이러스가 잠잠해지고 1년 이후에 크루즈 여행을 떠날 것이라고 답했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고령층이나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의 경우 코로나 19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지역으로의 여행을 삼갈 것을 권고하고 있다. 만성질환이 있는 65세 이상의 고령자에게 바이러스가 가장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