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자폐 아동 꾸준히 증가…자폐 아이 둔 부모가 기억해야 할 것

고철환 2020-02-24 00:00:00

자폐 아동 꾸준히 증가…자폐 아이 둔 부모가 기억해야 할 것

최근 방송에서 배우 오윤아가 자폐증을 앓는 아들과의 일화를 전하며, 자폐증 증상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자폐증이 있는 아동은 자폐증이 없는 아동보다 불안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두 배가량 높다. 전 세계 아동의 40%가 최소 한 가지 이상의 불안 장애를 진단받았으며 특정 공포증을 앓고 있다.  소아 자폐증 환자는 성인이 돼서도 불안증이 그대로 이어질 수 있어 미래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불안을 유발하는 요인에는 감각 민감성과 밝은 빛, 의류 소재 등이 포함된다.  자폐 아동은 오감으로 들어오는 대상을 무시하려고 애쓰지만, 금세 지치고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후 감각 과반응성으로 이어져 감각으로 유발되는 불안 주기를 만들게 된다. 

자폐 아동 꾸준히 증가…자폐 아이 둔 부모가 기억해야 할 것

자폐증 또는 자폐스펙트럼장애(ASD)는 사회적 능력, 반복적 행동, 언어, 비언어적 소통 등에 문제를 보이는 광범위한 증상이다. 유전 및 환경적 요인의 결합에 따라 자폐증은 여러 가지 하위 유형이 있다. 

소아 자폐증 환자의 증상은 천차만별일 수 있다. 일부는 일상적인 일조차도 지원을 받을 필요가 있는 반면, 일부는 거의 도움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다. 자폐증의 증상은 보통 생후 2~3년에 나타난다. 관련 발달 지체는 조기에 나타날 수 있어 생후 18개월에도 진단받을 수 있다. 자폐증 진행과 관련된 일부 요인이 있지만 정신 질환과 위장 장애, 발작, 수면 장애 등도 동반할 수 있다.

자폐증과 관련된 주요 통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2014년 8세 아동 33만5,483명 중 1.7%가 ASD 진단을 받았다. 이 수치는 2012년에 비해 15% 증가한 것이다.

ASD는 여아보다 남아에게서 4배가량 더 많이 발생한다. ASD 아동의 31%는 지적 장애(IQ 70 이하)가 있으며 25%는 경계선 범주(IQ 71~85), 44%는 IQ가 85점 이상이며 평균 범주다. ASD 유병률은 흑인 아동보다 백인 아동에서 20~30%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2002~2006년 사이 백인 아동의 유병률은 히스패닉 아동보다 70% 높았다.

미국에서는 자폐 아동으로 인한 연간 총 비용이 115억~609억 달러(14조 81억 5,000만 원~74조 1,823억 원)가 발생한다. 이는 직간접적인 의료비 부담과 특수 교육, 부모 생산성 저하 등의 원인 때문이다. ASD 아동 및 청소년은 ASD를 앓지 않은 아동이나 청소년보다 연간 의료비 지출이 4,110~6,200달러(500만~755만 원) 많다. 게다가 ASD 아동을 위한 집중 행동 개입 프로그램으로 매년 4만~6만 달러(4,872만~7.308만 원)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자폐증을 의심하는 부모라면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우선 진단을 미뤄서는 안 된다. 뭔가 잘못됐다고 느껴진다면 즉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문제가 커질 때까지 기다려서는 안 된다. 더 빨리 도움을 줄수록 치료 성공률이 높아진다. 조기 개입은 자녀의 발달을 재촉하고 자폐 증상을 최소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자폐증과 자녀의 자폐 촉발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자폐증에 대해 더욱 많이 알수록 자녀를 위한 올바른 선택을 내릴 수 있다. 치료 옵션을 파악하고 질문하고 치료 결정에 참여해야 한다. 그리고 자녀에 대한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자녀의 파괴적 행동 이면의 촉발 원인과 긍정적 반응을 유발하는 원인을 찾아야 한다.

자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작은 성공을 축하해주고 특별한 재능을 즐겨야 한다. 예를 들어, 자녀가 착한 일을 하면 칭찬을 해 기분을 좋게 만드는 것이다. 칭찬은 구체적일수록 자녀가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작은 선물이나 놀이시간 등으로 보상할 수도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녀와 다른 아이를 비교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자폐 아동 꾸준히 증가…자폐 아이 둔 부모가 기억해야 할 것

스케줄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 자폐증 아동은 루틴을 좋아한다. 자녀가 일관적인 지도를 받고 상호작용을 해 자신이 배우는 것을 연습할 수 있게 한다. 자녀의 교사 및 치료사와 대화를 통해 가정에서도 할 수 있는 기술과 방법을 습득해 꾸준히 연습할 수 있게 한다.

친구나 다른 가족, 전문가로부터 도움을 얻기 위해 지원 단체에 참여할 수 있다. 그룹 활동은 여러 가지 정보를 공유하고 같은 문제를 겪고 있는 부모들과 교류할 수 있는 뛰어난 방법이다.

10년이나 20년 후의 자녀 미래나 인생을 결론짓지는 말자. 시간이 갈수록 자녀에게 알맞은 최선의 접근법이나 기술, 치료를 시도하게 될 것이다. 한 가지 방법이 효과가 없다고 낙담할 필요는 없다.

자녀가 자폐증이 있다고 해서 다른 가족들로부터 숨을 필요는 없다. 자녀는 부모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보호가 필요하다. 인내심과 긍정적인 태도가 중요하다. 자폐증 환자는 세상 밖으로 나갈 잠재력이 충분하다.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