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이 시대가 요구하는 '완벽주의', 자녀의 완벽주의 대처요령

조윤하 2018-01-16 00:00:00

이 시대가 요구하는 '완벽주의', 자녀의 완벽주의 대처요령
▲출처=셔터스톡

언제나 최선을 다하며 무엇인가를 성취하려는 의욕이 많은 자녀를 둔다는 것은 부모로서는 좋은 일이다. 그러나 이는 자칫 스스로를 깎아 먹는 완벽주의적인 태도로 발전될 수 있어 위험한 측면도 있다.

경쟁이 심한 오늘날, 완벽주의의 성격을 띤 자녀를 둔 부모가 알아야 할 것들을 공개한다.

완벽주의

토마스 쿠란(Thomas Curran) 영국 배스대학 조교수와 앤드류 힐(Andrew Hill) 요크 세인트존 대학 부교수는 완벽주의를 "가혹한 자기비판과 결합된 완벽함을 위한 비이성적 욕망"이라고 표현했다. 또한 완벽주의자들은 그저 부지런하게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과는 달리 자신의 결함을 바로잡기 위해 전념한다고 지적했다.

사실 오늘날의 현대사회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변하면서 이전에는 없었던 다양한 새로운 방식으로 젊은이들의 능력을 평가한다. 이에 여러 시험과 기타 기준으로 능력을 판단하고 순위를 매긴다. 게다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이런 순위에서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하면 덜 가치 있는 인간으로 평가되기 쉽상이다.

쿠란과 힐 교수는 지난 1989년 이래로 젊은이들의 완벽주의 수준이 어떻게 크게 상승했는지를 연구했는데, 이들은 완벽주의가 시장기반의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자신의 자존감을 찾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며 안전하다고 느끼는 방식의 한 증상이라고 설명했다.

더욱이 현 사회는 완벽함을 이상화시키면서 젊은이들을 더 자극시킨다. 이는 기업들이 제품과 서비스를 홍보하는 방식에서 드러나는데, 소셜미디어를 통해 더욱 증폭되어 나타난다. 가령 사용자들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기 자신과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의 완벽한 버전을 보여주며 다른 이들과 공유하며 드러내는 것. 이에 젊은이들은 더 쉽게 불안감에 빠지며 어떻게 보이거나 행동해야 하는지에 집착하게 된다.

교수들은 이런 큰 압박감이 완벽주의를 재촉하게 만들면서 결국은 우울증이나 불안, 자살 충동 같은 정신장애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실패했거나 실수를 저질렀을 때 자신을 가치없다 느끼며 심리적인 혼란을 야기시킨다는 것.

이 시대가 요구하는 '완벽주의', 자녀의 완벽주의 대처요령
▲출처=픽사베이

어린이들의 완벽주의

오늘날엔 젊은이들과 마찬가지로 어린아이들까지 완벽주의에 집착한다. 이에 어린 나이부터 완벽주의 경향을 보일 수 있는데, 교육학자인 레아 데이비스(Leah Davies)는 이는 여러 행동 기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가령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도전을 즐기거나 혹은 비현실적인 목표로 인해 자신의 노력에 만족하지 못하고 실수를 용납하지 않는 것들이다.

데이비스 박사는 타고난 기질과 환경적 요인의 결합이 어린이들을 완벽주의로 몰아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서 환경적 요인이란 부모나 교사의 요구, 주변 어른들의 완벽한 행동을 관찰하는 것 등이다. 또한 어린이들도 극도의 완벽주의는 성인들처럼 불안감과 우울증, 섭식장애 그리고 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

박사는 또 극도로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아이들은 비정상적으로 자신에 대한 기대치가 높고 의식적이며 자신에게 비판적이라고 설명했다. 자주 자존감이 낮아지며 실수에 대해서는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데 비판에도 매우 민감해진다. 또한 상대방을 비판하고 사회적으로는 내성적인 성향을 보인다. 일을 잘 미루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이나 어려운 일들은 피하려 하는 경향도 보인다. 이외에도 결정을 잘 하지 못하고, 심지어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판단되면 두통이나 다른 신체적인 병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특히 탁월한 재능을 지닌 아이들은 종종 완벽주의자 경향을 보이기도 하는데, 만일 불완전한 결과에 두려움을 느끼게 될 경우 일을 제대로 끝내지 못하고 부진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완벽주의', 자녀의 완벽주의 대처요령
▲출처=픽사베이

완벽주의자 아동 관리

완벽주의자들은 위험을 감수하거나 일을 끝내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즐거움이나 기쁨을 느낄 충분한 여지가 없고 생활 범위도 좁아지게 마련이다. 이에 자녀들이 완벽주의에 집착하거나 그런 성향을 보인다면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세심한 관리를 쏟아야 한다.

먼저 자녀가 잘하지 못하는 분야의 스포츠에 그저 재미를 위해 도전하도록 만드는 상황은 꽤 도움이 된다. 임상 심리학자인 사이먼 셰리(Simon Sherry)는 자녀들이 실패를 받아들이도록 돕는 것은 비록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여전히 좋은 삶을 살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가르쳐준다고 설명했다.

아이들에게 부모가 직접 위험을 감수하고 실수를 용납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도 좋다. 이는 불완전한 결과에 대해 웃으며 넘기면서 괜찮다는 것을 보여줘 아이들을 이해시킬 수 있다.

아동및 가족치료사인 미첼 캄볼리스(Michele Kambolis)는 아이들에게 합당한 기준을 세워 성취보다는 그 일에 열심히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해야할 일들을 각각 잘게 쪼개고 한 번에 한 개씩만 수행하도록 독려해 수행해야 할 과제가 너무 많지 않다고 느끼게 하는 것도 좋다. 불안감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휴식기를 가지는 것이 권고됐다.

캄볼리스는 또한 아이들이 실수로 인해 신경질을 내거나 크게 반응하더라도 부모는 차분함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 순간은 완벽주의가 아이들을 지배하고 있는 중요한 순간이기 때문에 부모의 이해와 인내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아이들이 진정되면 부모는 아이들의 불안감을 없애도록 도와주면 된다. 혹은 그 순간을 아이들이 직접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이는 이후 일어날 일에 대한 불안감을 줄여줄 수 있는데, 그 순간 아이들이 보고 듣고 맛보고 느낄 수 있는 다른 것들에 집중하도록 하면 불안감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자녀들이 두통이나 복통, 수면 장애를 보이거나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등의 신체적 증상이 나타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효과적이다. 주치의나 소아과 의사에게 자녀의 행동과 이런 행동들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하고 상담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완벽주의는 아이들이 실수에 관대해지고 여전히 즐거운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을 배우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