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위가 한 걸음 앞으로 다가왔다. 저마다의 집안 전통의 제사 지내는 순서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추석 제사를 어떻게 지내는지 알아보자.
제사지내는 순서
제사는 총 7가지의 과정을 거친다. 차례가 시작되면 제주, 제사를 주도하는 상제가 향을 피운다. 그 옆에서 제주를 돕는 사람을 의미하는 집사가 잔에 술을 붓는다. 제주는 그 잔을 모삿그릇(제사에서 사용하는 술을 따르는 그릇에 담은 모래와 꽃은 띠의 묶음)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을 한다. 신령이나 묘지에서 제사를 올릴 때는 모두가 두 번 절을 한 후 위 과정을 거친다. 이 때 술을 넣은 잔을 모삿그릇이 아닌 땅에 뿌려도 좋다. 이를 강신이라고 한다. 강신 다음에는 참신, 제사에 참여하는 모두가 두 번 절한다. 절을 하고 난 뒤 제주가 직접 상 위에 술을 따르며 술을 올린다. 떡국이나 송편에 수저, 시접(제사상에서 수저를 담는 놋그릇)에 젓가락을 정돈한다. 제사에 참여하는 사람들 공손히 서 있은 후 수저를 거둔다. 2번 절을 한다. 지방과 불문을 불에 태우고 상을 치우며 제사 음식을 모두가 나눠 먹는다.
절하는 방법
요즘엔 남녀 구분 없이 똑같은 절을 하는 가정이 많지만 원래 남자가 하는 절과 여자가 하는 절이 다르다. 우선 남자는 왼손이 위로,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한다. 남자 큰절은 공수한 손을 눈까지 올리고 내리면서 허리를 굽혀 바닥에 댄다. 무릎을 꿇을 때는 왼쪽 무릎부터다. 머리를 들면서 팔꿈치부터 편다. 오른쪽 무릎을 세우면서 바닥에서 손을 때고 오른쪽 무릎을 짚고 일어난다. 공수 손을 풀지 않고 다시 눈까지 올린 후 묵례한다. 여자 큰절은 시선을 손등을 향하며 공수한 손을 어깨 높이까지 올린다. 왼쪽 무릎부터 꿇으면서 앉는다. 욋몸을 45도 정도만 굽혔다 편다. 오른쪽 무릎부터 세우면서 일어나고 공수한 손을 내리고 묵례한다.
박용호 아나운서 "둘째 아들 4개월간 실어증"
팽현숙 "최양락, 딸 낳고 울어…나 몰래 묶었다"
[고속도로 휴게소 별미] 경부·호남 등 이영자 맛집 리스트 모음
[지방쓰는법] 매회 소각하는 제사방, ‘현고학생부군신위’만 작성해도 OK? 원칙은
설연휴 고속도로·터널 통행료 면제 어디? 하이패스 미납 조회방법까지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하는 법 전입신고 먼저 진행해야 "필요서류 있으면 인터넷도 가능"
[재테크 꿀팁] 목돈 모으는 방법 "주식 사는법"...2020년 증시개장시간과 휴장일은?
2020년 새해 인사말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경자년 쥐 일러스트 새해 이미지도 인기
2020 한국사 시험일정 제46회 접수기간은 언제부터?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유효기간 잘 계산해야
[12월 대형마트 휴무일] 이마트 트레이더스 휴일은 언제? 홈플러스와 롯데마트 쉬는 날 '혼돈'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