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알아두면 흥미로운 효과 4가지

윤정현 2019-01-30 00:00:00

알아두면 흥미로운 효과 4가지
▲플라시보 효과는 상태가 좋아질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실제로 병이 낫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사진=ⓒGetty Images Bank)

플라시보 효과

'플라시보'는 라틴어로 '마음에 들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로, 심리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 환자가 의학이나 치료법으로 받아들이지만 치료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가짜 약제를 말한다. 의사가 환자에게 가짜 약을 투여하면서 진짜 약이라고 말하면, 환자가 자신의 상태가 좋아질 것이라 생각하는 믿음 때문에 실제로 병이 낫게 되는 현상이다.

노시보 효과

'노시보'는 '해를 입게 된다'라는 라틴어에서 유래됐으며, 앞서 언급한 플라시보 효과와 정반대의 개념이다. 약효를 의심하거나 부작용이 있다고 생각하여, 약효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믿게 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풍토병이 돈다는 소문을 들었을 때 지역 주민 상당수가 감염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유 없이 발진, 발열 등 풍토병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이다. 실제로 많은 환자들이 부정적인 진단을 받은 후 빠른 시일 내에 사망하는 현상을 목격한다고 일부 의사들은 말한다. 약의 효능보다 말 한 마디가 환자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을 알 수 있다.

로젠탈 효과

로젠탈 효과란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인해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성취에 대한 기대감이 클수록 실제로 성공을 할 확률이 크다는 뜻의 이 효과는 단순한 기대감으로 실제로 눈에 보이는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알아두면 흥미로운 효과 4가지
▲기업에서 인재 채용 시 미취업 경험만을 근거로 결격 판단하는 사례는 스티그마 효과라고 볼 수 있다(사진=ⓒGetty Images Bank)

스티그마 효과

스티그마 효과란 어떤 사람이 부정적으로 낙인찍히게 되면 실제로 그 대상이 점점 더 나쁜 행태를 보이고, 대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또 다른 말로 낙인 효과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기업에서 인재를 채용할 시 동일 조건하에 미취업 경험만을 근거로 응시자에게 결격사유가 있다고 보는 것을 의미한다. 응시자는 미취업 경험으로 인해 구직 활동에 소극적으로 임하게 되어 취업이 어려워지는 경우를 의미하기도 한다.

[팸타임스=윤정현 기자]

ADVERTISEMENT
Copyright ⓒ 팸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